지금까지 평가는 주로 인지적 영역에 초점을 두고 시험을 봤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라서 아동의 전인적인 평가는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이런 점을 보완하기 위해 실제 상황에서 교육목표를 달성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수행평가가 도입됐습니다.
수행 평가는 교육 결과뿐만 아니라 교육 과정도 함께 중시하는 평가 방식입니다.‘무엇에 대해 아는 것’뿐만 아니라 ‘어떻게 하는지 아는 것’의 습득 수준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일회적 평가가 아니라 아동 개개인의 변화와 발달과정을 종합·지속적으로 평가합니다. 지속적 평가 방법으로는 관찰, 면접, 실험·실습, 실기, 토론, 논술형 검사, 포트폴리오 등을 이용합니다.
이렇게 수행평가는 학습 결과의 파악보다는 학습과정을 진단하고 개별 학습을 촉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어, 교수 학습과정의 한 부분이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초등교육은 의무 교육으로 알고 있는데 최근 초등학교에 보내지 않고 가정에서 교육하거나 대안학교에 보내는 사례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초등학교에 보내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초등교육을 받을 수 있나요?
‘초등학교는 국민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초등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초·중등교육법에 명시돼 있습니다. 초등교육은 의무 교육으로 학부모나 보호자는 자녀가 만6세가 되면 초등학교나 초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특수학교에 보내야 합니다. 다만 자녀의 건강 사정이나 특별한 사유가 있을 때는 유예 또는 면제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학부모 의사에 따라 홈스쿨이나 대안학교에 보내는 사례가 있습니다. 하지만 학력인증을 받을 수 없어 중학교에 진학할 때는 중학교 입학자격 검정고시에 합격해야 합니다.
초등학교 3학년 아이를 둔 엄마입니다. 아이가 아직 구구셈을 못하고 책도 더듬거리며 겨우 읽는 수준입니다. 제 아이처럼 학습이 부진한 학생은 학교에서 별도로 뽑아 관리하며 특별히 지도한다는데, 학습이 부진한 학생은 어떻게 선별하는지 궁금합니다.
학습부진 학생이란 학습 능력과 적성은 정상수준이면서 이에 상응하는 학업성취를 못하는 학생입니다. 초등학교에서는 학습 부진학생을 ‘기초학습 부진학생’과 ‘교과학습 부진학생’으로 구분합니다. 초등학교 3학년 수준의 읽기·쓰기·셈하기 능력에 도달하지 못한 학생을 ‘기초학습 부진학생’, 학년 교육과정에 제시된 최소 수준의 목표에 도달하지 못한 학생은 ‘교과학습 부진학생’입니다.
기초학습 부진학생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개발한 판별도구를 이용해 기초학력 진단평가를 실시한 결과, 미달한 학생이 해당됩니다. 기초 학력진단평가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0월쯤 실시한 뒤 4학년 이상은 12월 재평가해 미달학생을 기초학습 부진학생으로 선발합니다. 교과학습 부진학생은 학교 계획에 따라 국어와 사회, 수학, 과학 등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실시해 선정합니다.
박현갑기자 eagleduo@seoul.co.kr
■ 도움말:서울시 교육청 임세훈 장학사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