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차례 시험 결과만을 가지로 판단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습니다.
본질적으로는 회화중심으로 가는 게 장기적으로 도움이 됩니다. 현행 학교시험은 대체로 읽기와 문법중심이라 학교성적을 올리겠다면 단기적으로는 문법중심으로 공부하는게 내신향상에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회화라 하더라도 문법도 들어가 있으니 회화중심 교육을 권하고 싶습니다. 정부에서도 듣기·말하기 교육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영어교육 정책을 바꾸고 있습니다. 문법의 경우,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공부할 수 있으나 듣기 말하기는 장기적으로 꾸준히 대비해야 한다는 점도 염두에 둬야 합니다.
●초등학교에 다니는 남자아이를 둔 학부모입니다. 성격이 너무 온순해 다부진 성격으로 바꿔주기 위해 태권도 학원에 보내려고 하는데 아이가 가기 싫다고 합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아빠나 엄마가 동기유발을 어떻게 할 것인지가 관건입니다. 아이가 싫다고 하는데도 무리하게 가라고 종용하면 교육적인 효과가 떨어지게 됩니다. 자녀에게 어떤 운동 종목이 맞는지를 점검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조용한 아이라면 우선 운동에 관심을 갖게한 다음 천천히 유도할 필요가 있죠.
이런 경우, 운동학원-태권도 학원이든 유도, 합기도 학원이든-에 들어간 이후에도 꾸준하게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운동학원의 경우, 관장이 아니라 사범들이 아이들을 가르치는데 원생들이 기능적으로 동작을 잘못 취하면 얼차례도 주는 것 같습니다. 이런 경우라면 미리 관장하고 자녀 특성등에 대해 상담을 해둘 필요가 있습니다. 아이 아빠나 엄마도 자녀가 집에 돌아오면 “너 태권도 학원다니더니만 달라졌다. 운동이 재미있나 보다.”며 격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초등학교 5학년생을 둔 학부모입니다. 방과후 학교에서 원어민 강사와의 영어 프로그램을 마련했다며 관심있으면 참가하라고 학교에서 연락이 왔습니다. 수업은 하루 50분씩이며 원어민 강사는 하루 15분내지 20분정도 가르친다고 되어 있고요. 나머지는 한국인 강사가 가르치고요. 비용은 10만원입니다. 그런데 조금 더 돈을 내더라도 영어전문 학원에 보내는 게 낫지않나 생각돼서요.
▶일단 가격의 경우, 민간의 경우, 학교에 비해 한 두배 비싼 게 아닙니다. 원어민 강의가 그렇다는 것이죠. 일반 학원의 경우, 대체로 일주일 2∼3차례 하면서 25만원에서 30만원을 받습니다.ECC나 SLP 등이 그렇죠. 가격에 대비하면 학교가 엄청 싼 것이죠.
다음으로 강사 수준을 봐야 합니다. 사설학원 강사는 학부모가 검증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학교 강사는 비자문제에서부터 학력 자격 등을 꼼꼼히 검증하기 때문에 강사수준은 일반학원에 비해 절대 뒤지지 않는다 할 수 있습니다. 특기적성 강사로 받으려면 서류가 굉장히 까다롭고 채용 신체검사도 받습니다. 공무원에 준하는 자격을 갖춰야 하죠.
프로그램도 좋습니다. 게다가 자녀가 학교에서 수업을 마치고 바로 공부하고 갈 수 있다는 것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죠.
학년별, 수준별로 수업하는지 점검하고 강사수준도 살펴보고 가격도 대비한 다음에 결정하면 됩니다.
■ 도움말 교육인적자원부 박상화 연구사, 서울시교육청 임세훈 장학사, 서울교대 부속초등학교 김수정 교사.
박현갑기자 eagledu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