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1년이면 사춘기가 올 수 있는 시기입니다. 사춘기는 자기만의 심리적·물리적 공간이 필요한 시기죠. 때로는 모든 것과 차단하고 자기만의 세계에 빠지는 경우입니다. 문을 잠가버린다면 엄마가 “방에서 혼자 있는 것같은데 엄마는 걱정된다. 무슨 고민이라도 있느냐.”며 조용히 묻는 게 좋습니다. 이 무렵은 자녀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성숙한 단계니 사회적 관계의 대상으로 대화하려는 자세가 필요하죠.
좋은 부모들이란 아이들에게 “옆집 아이는 어느 대학갔다.”고 자녀 자존심 상하는 말을 하는 게 아니라 자녀에게 사회에 어떤 식으로 이바지하는 게 좋은지 꿈과 이상을 주고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하는 부모들입니다. 예를 들어 자녀가 아픈 사람을 치료해 주는 사람이 되고 싶다면 최근 돌아가신 이종욱 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 얘기를 들려주고 이렇게 되려면 중학생으로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죠.
●두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입니다. 큰애가 초등학교 4학년이고 둘째는 1년생입니다. 마치는 수업시간이 비슷해 늘 함께 귀가하고 있습니다. 집으로 오기전에 피아노 학원을 함께 다니고 있습니다. 큰 애가 사실상 엄마 대신 보모역할을 하는 셈이죠. 그런데 이번에 큰 아이가 원어민 선생님이 영어를 가르치는 방과후 학교에 참가하겠다고 합니다. 저희들도 보내고 싶은데 이렇게 되면 혼자서 제각각 집으로 와야 하는데 세상이 흉흉하다보니 마음이 놓이질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요즈음은 각 학교마다 ‘에듀 케어’라고 해서 보육과 교육을 같이하는 프로그램을 두는 추세입니다. 아이들의 숙제를 봐주거나 낮잠자기 등 엄마를 대신해 돌봐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런 프로그램이 없는 학교라도 도서실은 개방되어 있습니다. 학교별로 사서교사나 학부모 명예교사가 배치되어 있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실을 개방하는 학교도 있습니다. 이런 프로그램은 특별히 돈을 주지 않고 이용할 수 있죠. 우려하시는 것처럼 여자 아이들같은 경우, 운동장에 혼자 노는 것은 적절치 않습니다. 가급적 교사나 프로그램속에서 시간을 보내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초등학교 입학한 아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어느날부터인가 전에 하지 않던 손가락을 빠는 버릇이 생겼습니다. 하지 말라고 하면 재미있다는 듯 더 빠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프로이트 이론에 따르면 구성기에 충족되지 않는 욕구가 있는 경우, 손가락을 빤다고 합니다.
이런 경우, 부모가 세울 첫번째 전략은 아예 무시하는 경우입니다. 이렇게 하면 자연적으로 소멸되는 수가 있습니다. 두번째는 손가락을 빨 때마다 애가 싫어하는 명칭-예를 들어 ‘지저분하다’는 뜻의 ‘지저분’이라고 말해주는 것입니다. 세번째는 긍정적·부정적 강화를 해주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자녀와 계약해 “너가 하루에 세번이상 빨지 않으면 친구랑 1시간 이상 밖에서 놀 수 있다. 게임할 수 있다.”고 말하는 식이죠. 부정적 강화는 “이런 약속을 못지키면 친구랑 놀지 못하거나 게임을 못한다.”고 반대로 약속하는 것입니다. 또 달래고 타이를 때, 손바닥을 때리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위생과 관련해 깔끔하게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하는 게 좋습니다.
■ 도움말 한국청소년 상담원 상담팀장 이동훈 박사, 서울시교육청 임세훈 초등 장학사
박현갑기자 eagledu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