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환경이 딸만 둘인 데다 막내를 아들로 둬 모든 것을 다 받아주는 분위기로 보입니다. 누나들이 원하는 대로 우호적으로 배려해 주는 등 여성적인 환경에서 자란 남자아이가 학교에 갔을 때, 강한 아이들한테 반박을 못하는 경우인 것 같습니다.
이런 대목이 시정이 안 되면 초등 고학년에 가면 아이가 왕따가 될 수도 있습니다. 집 밖에서 적응을 못하니 학교를 거부할 수 있고요.
이런 경우에는 자기주장 훈련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문의하신 대로 크레파스를 가져간 상황을 가정, 엄마가 크레파스를 가져간 아이 역할을 맡아 아이에게 “네 의사를 표현해봐. 그러면 크레파스를 돌려줄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이지요. 이때 아이는 “돌려줘, 그리고 앞으로는 내 것 안가져 갔으면 좋겠다.”라고 분명히 말하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런데도 안 돌려주면 선생님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도 필요하고요. 아울러 선생님 입장에서는 또래들 중에 이런 아이에게 친구가 될 만한 아이를 찾아서 묶어 주고 보호도 해주는 등 친구관계를 형성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왕따 문제입니다. 초6년 여학생 때부터 친구들과 갈등이 많았습니다. 애는 욕심이 많고 야무진 편입니다. 엄마가 보기에는 마음이 약한 것 같은데 친구들이 왕따를 시키는 분위기입니다. 공부도 잘하고 야무진데 이런 것을 다른 친구들이 질투해서인지 아이가 이번 여름방학 때 수련회 가는 것도 스트레스 받는 것 같아요. 왕따시키는 아이들에게 세게도 나가 보고 무시도 해봤지만 그럴수록 드러내놓고 왕따시키려는 분위기입니다. 딸 아이와 친하려고 다가오는 친구라도 있으면 애들이 이 친구를 떼어놓는다고 하고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왕따 문제는 원인이 아주 복잡합니다, 개인의 성격 탓일 수도 있고 의도적으로 괴롭히려는 집단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아버지 자체가 지시적이고 독선적이고 쉽게 다혈질적으로 화를 내는 타입인 경우, 아이가 아버지 눈치를 많이 보고 자기 주장을 많이 못하면서 말을 못하는 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친구의 경우, 초등학교 6년 때부터 그랬다면 왕따가 일시적인 문제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문의하신 대로 욕심도 많고 공부도 잘한다고 하는 것으로 봐서는 아마 아이가 욕심이 많아서 잘난 척하게 되고 이런 것에 대한 반감을 아이들이 표현하는 것 같습니다.
가정에서는 왕따 문제를 알 수 없습니다. 아이가 친구들과 어울렸을 때 알 수 있습니다. 자기 욕심이 있는 경우라면 친구에 대한 배려를 하고 함께 어울리려고 노력하는 등 사회성을 기르려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친구를 잘 사귀려면 상담원으로부터 사회성 증진훈련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 도움말 한국청소년상담원 상담팀장 이동훈 교수
박현갑기자 eagledu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