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업 수행에는 심리정서적인 영향이 매우 큽니다. 그래서 자녀의 학업 수행이 저조하다면, 우선 몇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습니다.
우선 부모와 자녀간의 관계가 신뢰하는 관계인지 살펴보시고, 자녀에게 공부에 대해서 지나친 압력을 주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자녀가 평소 이야기를 잘 하지 않으려 한다거나, 집에 오면 방에만 있고 싶어 한다면, 부모 자녀간의 신뢰관계가 잘 형성되지 않은 것일 수 있습니다. 또한 평소 자녀와의 대화 주제가 공부에만 치우쳐 있다면, 자녀가 공부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고 있을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자녀의 학업수행에 대해서 위로해 주고 격려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성적이 잘 오르지 않을 때, 우선 속상한 사람은 자녀일 수 있습니다.
지적수행 능력은 성격과 같은 심리적인 요인도 많은 부분을 차지합니다. 이해력이나 응용력이 부족하다면 이들 수행능력과 관련한 심리정서적인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을 객관적으로 평가해보고 개선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하반기부터 새로운 법에 의한 학교안전사고보상제도가 시행된다고 들었습니다. 어떻게 되나요?
당초 오는 9월1일 시행을 목표로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안을 마련하여 국회에 제출했는데 국회 일정상 시행시기는 늦추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 법에서는 현행 민법의 규정에 의한 사단법인 형태로 설립·운영되고 있는 각 시·도 학교안전공제회 설립·운영의 특별법적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학교안전사고와 관련한 치료 및 보상에 대해 법으로 보호를 받게 됩니다. 학교안전 사고에 대한 예방교육 강화, 안전점검 실시 의무화를 통해 사전에 사고발생을 억제하고 학교현장에서 학생의 부주의, 우발적인 충돌, 미성년자인 점 등 특수성을 감안하여 과실 책임을 묻지 않는 방향으로 하고 있습니다.
●수도권 모 대학 사회계열 학과에 입학한 대학 신입생입니다. 현재 다니는 대학이 적성에 맞지 않을 뿐더러 원하는 의과대학에 가려고 주말에 입시학원을 다니고 있습니다. 금전적으로 가정형편이 넉넉지 않은 데다 재수한다고 해서 꼭 원하는 대학에 합격한다는 보장도 없어서인지 부모님은 알게 모르게 저에 대한 고민이 많아 보이십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현재 다니고 있는 대학과 전공이 적성에 맞지 않는다면, 진로에 대해 다시 한 번 고민해 보는 것은 건설적인 것 같습니다.
먼저 현재 하고 있는 입시 공부에 대해서 자신감을 가져 보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진로를 다시 정하고 불확실한 미래를 바라보아야 하는 불안한 상황이지만, 목표가 분명하다면 자신의 선택에 대해서 책임을 질 수 있는 마음이 필요합니다. 설령 실패하더라도, 나의 진로에 대해서 내가 결정한 것이기 때문에 결과에 스스로 책임을 져야 한다는 마음가짐이 필요합니다.
실패를 두려워하는 마음 때문에 결정을 하지 못한다면, 더 좋은 미래를 성취하기가 그만큼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
■ 도움말 교육부 박노화 교육행정사무관
한국청소년 상담원 손재환 선임상담원
박현갑기자 eagledu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