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구례농고에 따르면 2004년 3월 농어촌 학교 가운데 전국에서 유일하게 교육인적자원부로부터 ‘학교기업 실험연구학교’로 지정받아 3년째 농촌학생들에게 기업경영 기법을 가르치고 있다.
이 학교가 기업 경영과 교과 과정을 접목시켜 운영 중인 ‘학교 기업’은 과자, 빵을 만들어 파는 ‘섬지뜰 제과’와 7개 종류의 야채를 생산, 판매하는 ‘무농약 채소 농장’이다.
‘섬지뜰 제과’는 지난해부터 우리밀과 산수유, 녹차 등 지역 특산품을 활용, 각종 과자와 빵 34개 품목을 만들고 있다.21년 경력의 제빵 기술자를 고용해 식품가공과 제과·제빵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을 직접 지도, 자격증 획득과 창업 노하우까지 전수하고 있다.
‘섬지뜰 제과’는 지난해 6000만원에 이어 올해는 1억원의 매출을 예상하고 있다.
또 원예과 학생들은 상추, 쌈케일, 청경채, 쑥갓 등 채소를 무농약 유기농법으로 재배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으로부터 무농약 인증을 받았다. 소문이 나면서 무공해 채소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가 높아져 주문이 쇄도하고 있다.
학생들은 재배 및 제조, 생산 기술에서부터 시장조사, 납품, 계약, 판매방식 등 경영기법을 그대로 배워 실제 적용하고 있다.
이수진(18·식품가공과)양은 “평소 하고 싶었던 빵을 만들 수 있어 너무 좋다.”며 “미래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이정례 교사는 “학생들을 특기 적성교육과 연계해 집중 지도하고 있다.”며 “기업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모두 기능사 자격을 취득했으며, 대부분 졸업 후 창업을 마음에 두고 기술을 배우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