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송파구 송전초등학교 졸업식에서 한 학생이 선생님으로부터 ‘졸업앨범’을 받고 있다. 오른쪽 작은 사진은 최근 농어촌지역 미니학교에서 ‘졸업앨범’대신 졸업생에게 제공하는 CD앨범.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
전산보조직원 최경선(21)씨는 “1인당 2만원이 넘는 졸업앨범을 학생들이 부담스러워하는 것 같아 CD앨범으로 바꿨다.”면서 “CD앨범에는 스틸사진과 5분 분량의 동영상도 끼워넣었다.”고 말했다.
태안군 원북초교는 내년에 25명이 졸업하지만 앨범을 따로 만들지 않을 계획이다. 대신 ‘전자앨범’이라고 부르는 CD로 제작해 나눠주기로 했다. 조원경(32) 교사는 “지난해 이원초교에 근무할 때 사진관에서 20여쪽짜리 앨범 하나에 7만원을 요구해 CD로 만든 경험이 있다.”고 말했다.
졸업생이 9명인 전북 무주군 괴목초교도 CD로 졸업앨범을 대신하고 있다. 학교 관계자는 “앨범이 없으면 졸업생들이 서운해할 것 같다.”고 아쉬워했다.
올해 졸업생이 2명뿐인 경북 김천시의 어모초교는 소풍, 운동회, 수학여행 때 찍은 사진 500여장을 담은 CD를 졸업식 때 나눠줄 계획이다. 신주섭(53) 교사는 “학생이 너무 적어 졸업앨범 1권 제작에 10만원 이상이 든다.”라고 했다.
졸업생이 17명인 경북 안동 북후중도 앨범 1권에 6만∼7만원이 들자 CD로 돌렸다.
충남 천안시 성환읍의 한 사진관 관계자는 “졸업앨범이 10여권밖에 안 되면 사진기사 월급도 나오지 않아 손을 뗀지 오래됐다.”고 털어놓았다. 게다가 CD로 만들면 깨지거나 분실 위험이 크고 졸업앨범답지 않아 애정이 덜하기 때문에 잘 보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일부 학교는 가정에서 쓰는 이른바 ‘찍찍이’라고 불리는 일반 앨범으로 졸업앨범을 대체하고 있다.
올해 30여명이 졸업하는 충남 논산의 광석중은 담임교사들이 디지털카메라로 학생들의 사진을 찍어 인화한 뒤 일반 앨범에 담아주고 있다. 이 학교의 3학년 담임교사는 “학생들이 CD보다 더 좋아한다.”고 말했다.
졸업생이 3명밖에 없는 전북 부안 위도고도 4년 전부터 졸업앨범을 없애고 담임 교사가 직접 디카로 학생들의 사진을 찍어 프린터로 인쇄, 사진첩 형태로 앨범을 만들어주고 있다. 천안 동성중은 디카로 사진을 찍어놓았다가 교사와 학생들이 직접 편집한 뒤 인쇄소에 제본만 맡기고 있다.
원북초교 조원경 교사는 “학생이나 학부모들의 의식이 학창시절의 추억을 덜 소중하게 생각하는 쪽으로 변하고 있는 점도 졸업앨범을 만들지 않는 현상을 부추기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대전 이천열·대구 김상화기자 sky@seoul.co.kr
2006-12-9 0:0: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