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미독립선언서 완성하기
3·1독립만세운동 퍼포먼스, 대형 독립선언서 만들기, 유관순 열사 영정 공개 등 다양한 행사가 펼쳐진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는 이날 오전부터 가족단위의 시민들로 붐볐다.
아이들은 ‘자주독립 대한민국’이라고 붓글씨를 쓰고, 가로 세로 8×2m의 대형 기미독립선언서에 미리 써논 글씨에 색칠을 하며 신기해 했다.
서울 왕십리에서 지하철을 타고 아빠, 남동생과 함께 역사관을 찾은 전은진(10·마장초 4년)양은 “오늘이 우리나라가 독립만세를 부른 날이래요. 감옥을 봤는데 너무 무서워서 잊혀지지가 않아요. 얼른 가서 태극기 들고 만세를 외칠래요.”하며 마냥 즐거워했다.
그러나 기미독립선언서에 좋아하는 연예인의 이름을 써넣거나, 포토존에 만들어 놓은 독립운동가의 패널을 가지고 장난을 치는 아이들을 아무도 제지하지 않아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김구 선생, 유관순 열사 인기짱
이날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서 가장 인기를 끈 사람은 단연 김구 선생과 유관순 열사였다. 이들 주변에는 기념사진을 찍기 위한 관람객들로 북적였다. 유관순 열사 ‘역할’을 한 이장미(25모델)씨는 “역사적으로 뜻깊고, 개인적으로는 생일인데 의미있는 역할을 맡게돼 너무 기쁘다.”면서 “나이 지긋하신 할아버지 할머니께서 다독여주실 때는 가슴이 뭉클했다.”고 말했다.
반면 가장 ‘혼란에 빠진’ 사람은 일본순사 복장을 한 행사요원. 관람객들은 사진을 찍자며 몰려들었지만, 이내 아이들은 “우리를 괴롭힌 나쁜 사람”이라며 돌아섰다. 역사관 정문에서 순사 복장으로 서있던 김대희(26·자영업)씨는 “장난으로 받아들이지만 기분이 좋지만은 않다.”면서 “한 할머니께서 한참을 쳐다보고는 무엇인가 생각나셨는지 눈물을 흘리실 때 가장 마음이 아팠다.”고 말했다.
●행사 참가 시민 역대 최고
박경목 서대문구도시관리공단 역사관팀장은 “오전부터 관람객이 모여들기 시작해 올해는 예년보다 훨씬 많은 사람들이 역사관을 방문했다.”고 말했다. 이날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는 3만 6000여명이 입장한 것으로 집계됐다.2004년 3·1절에는 3만 5000여명이 다녀갔다. 이어 2005년 1만 5321명,2006년 1만 3633명 등으로 점차 관람객 수가 줄어들었다.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서 도슨트(안내인)를 맡고 있는 유덕웅(63)씨는 “독도영유권 문제로 역사 의식이 강해져 올해는 더욱 많은 사람들이 찾았다.”면서 “무엇보다도 아이들이 역사를 제대로 알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많은 시민들이 몰리는 3·1절에는 제대로 보지 못하고 지나치기도 할 것”이라면서 “평소에 여유를 가지고 관람하는 기회를 갖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글 최여경기자 kid@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