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청사는 문화산업공간이 당초 16.6%에서 34.1%로 늘어나고, 태양열 등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는 환경친화적 건물로 신축된다. 공사는 삼성물산 컨소시엄이 진행하며, 총 공사비는 1565억원이다.
●층수 낮추고, 형태는 사각형
새 청사는 고층부는 21층에서 19층으로, 저층부는 9층에서 6층으로 낮아졌다. 연면적도 2만 7215평(8만 9968㎡)에서 2만 1500평(7만 1074㎡)으로 5700여평 줄었고 형태도 사각형 빌딩으로 바뀌었다.
사무 공간이 줄어 들면서 3개 국(局)은 새 청사 완공 후에도 본청에 입주하지 못하고 서소문 별관 등을 사용해야 한다.
서울시 새 청사 건설계획안은 당초 지난해 6월16일 문화재위원회 사적분과위원회에 상정했다. 지하 4층에 저층부 9층, 고층부 최고 21층으로 된 안은 사적분과위가 주변 건물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부결됐다.
이어 지난해 10월 층고를 19층으로 낮추고, 태극문양을 형상화한 형태로 외관을 바꿔 문화재위에 상정했지만 역시 부결됐고,11월 규모를 줄여서 재차 제출했지만 역시 보류됐다.
조건부지만 이번 시청사 신축안 통과는 ‘3전 4기’인 셈이다.
●서울의 랜드마크
새 청사는 태양광 태양열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는 친환경 최첨단 건물로 지어진다. 유리창은 태양열을 활용하는 특수 유리를 사용한다.
또 고층부 건물 중앙부에는 햇빛이 들어올 수 있는 유리로 된 ‘그린 아트리움’을 조성, 나무를 심어 시민들의 휴식공간이나 공무원들의 만남의 장소로 활용한다.
문화산업공간 비율이 넓어짐에 따라 1∼4층에는 문화 관광 진흥·산업 진흥·첨단 정보기술(IT) 전시관이 들어선다. 지하에는 600여석 규모의 공연 시설도 마련된다.
김효수 주택국장은 “새 청사는 단순히 시 직원의 사무공간 기능뿐 아니라 서울시민과 관광객이 꼭 한번 찾고 싶은 독창적인 외관 및 기능을 갖춘 관광명소이자 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세훈 시장 임기내 완공 전망
새 청사 공기는 3년이다. 오는 5월 착공한다면 2010년 5월 준공한다. 오 시장 임기 내(2010년 6월)에 입주할 수 있다.
문화재위가 조건을 단 높이를 낮추고, 시청 뒤뜰을 넓히는 문제가 남았지만 서울시는 이를 적극 수용할 계획이어서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새 청사는 시청과 서울신문사 사이 태평로 건널목과 청사 전면부에 출입구를 내 시민들이 태평로에서 시청사 후정을 지나 서울광장으로 걸어갈 수 있도록 했다.
또 새 청사와 서울신문 사이에 있는 3차선 차로 옆에는 4∼6m 넓이의 보행로가 생긴다.
●기존 건물 어떻게 활용하나
새 청사가 완공되면 상수도사업본부 등 몇개 본부와 사업소,3개 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실·국은 본청으로 입주한다. 그동안 사무실 부족에 시달려온 서울시는 사무실 과부족 현상을 어느 정도 해소하게 된다. 서소문 별관도 입주해있던 실·국이 입주하면 빈공간이 제법 많이 생긴다.
문제는 이 공간을 시가 전부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시 일부 국이 남아 있어야 하는데다가 시의회가 이전을 계획하고 있기 때문이다.
옛 시청사와 함께 근대사적으로 지정돼 있는 시의회 청사는 시설이 노후화됐지만 문화재여서 제대로 수리공사도 하기 어렵다. 엘리베이터도 밖에 덧대서 설치했을 정도다.
김성곤기자 sunggone@seoul.co.kr
2007-3-17 0:0: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