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이령을 넘으면 천혜의 자연
완주코스(21.0975㎞) 점검에 나선 일행은 20일 오전 덕성여대 운동장을 출발했다. 가로사거리∼삼각산문화예술회관∼국립 4·19묘지를 한 바퀴도는 평지구간 4㎞는 일종의 ‘몸을 달구기 위한 코스’다.
그러나 이 구간이 초보 마라토너에게는 중요하다.
초보가 처음부터 전문 주자들의 힘찬 레이스를 따라가다 보면 후반에 균형을 잃고 기진맥진할 수밖에없다. 페이스를 유지하라는 뜻이다.
직선도로 코스는 6.0㎞ 지점인 교통광장까지 오르막이라고 느끼지 못할 정도로 완만하게 오르는 구간이다. 이때는 몸 상태에 따라 속도를 조금 올려도 좋다. 교통광장을 벗어나자마자 첫번째 고비인 가파른 오르막(6.5㎞)이 나온다.
보폭을 좁히고 팔을 경쾌하게 흔드는 게 요령이다. 전투경찰대(7.5㎞)를 지나면 통행이 금지된 지 40년 만에 첫 공개되는 우이령의 속살이 나타난다.
풀 냄새도 상큼하다. 하지만 방심은 금물. 두번째 오르막(8.0㎞) 고비가 나온다. 오른쪽으로 돌며 언덕을 오르고 나면 잠시후 세번째(8.5㎞)와 마지막(8.9㎞) 오르막이 잇따라 나온다. 오른쪽으로 돌았다가 왼쪽으로 도는 코스다. 주자들의 순위가 갈리는 절정의 고비다.
우이령(9.0㎞)에 오르면 ‘고생끝 행복시작’이다. 이제는 골인 지점까지 거의 내리막이기 때문이다. 군 유격장(9.8㎞)에 이르면 오른쪽 오봉이 멋진 모습으로 성큼 다가온다. 또 낙하훈련장으로 쓰이는 작은 인공호수에서 쪽빛 물결이 넘실거린다.
●보름 전쯤부터 가볍게 워밍업
대회일 보름 전쯤부터는 이틀에 한번씩 하루 30∼40분 정도 가벼운 조깅을 하며 컨디션을 유지하는 게 좋다.3일 전부터는 과음과 밤을 새우는 일을 피해야 한다.
대회 당일에는 오전 9시30분 이전까지 나와 행사 진행자의 안내에 따라 스트레칭을 하게 된다. 신발은 밑창이 얇은 마라톤화보다 두꺼운 조깅화가 낫다고 전문가들은 권했다. 복장은 가볍고 편하면 된다.
출발선에서는 앞에 서기 위해 애를 쓸 필요가 없다.
발목에 단 속도계측기가 출발선의 매트를 밟고 지나야 본인의 기록이 자동으로 측정되기 때문이다. 속도계측기 국제공인 제품이어서 뛰다가 분실하면 본인이 변상(2만 2000원)해야 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오전 10시 정각에 대포 소리가 우렁차게 울리고 연막폭죽이 터지면서 풍선이 하늘로 오르면 출발한다. 음료수와 간식은 2∼3㎞ 간격으로 준비됐다.
초보자라도 오후 1시 이전에 코스를 완주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강북육상연합회 조희용 부회장은 “푸른 하늘과 봄꽃, 맑은 공기까지, 이만한 마라톤 코스는 세상 어디에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2007-3-21 0:0: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