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서울 강남구 일원동 경희장수한의원 진료실. 윤성중(44)원장의 물음에 황다임(68) 할머니가 말끝을 흐린다.
●강남에도 영세민 있어요
달동네에서나 오갈 법한 얘기지만 사실은 강남구 주민의 얘기이다.
황 할머니의 손가락은 마디마다 퉁퉁 부어 있었고, 오른쪽 무릎 역시 관절염이 진행돼 울퉁불퉁했다. 당연히 걸음걸이는 불편했고, 계단을 오르내리는 것은 고역을 넘어 고행이었다.
황 할머니는 2년 전까지는 이 한의원에서 진료를 받았다. 그런 할머니가 치료를 중단한 것은 생활고 때문이었다.1988년 할아버지가 돌아가신 뒤 줄곧 혼자 살아왔지만 아들이 있다는 이유로 기초생활수급대상에서도 제외돼 생활비는 물론 의료혜택도 받을 수 없었다.
●복지 사각지대 찾아나선 강남구
빛이 밝으면 그림자도 깊듯이 부자 동네 강남구에도 영세민이 적지 않다. 기초생활수급대상자는 4370가구에 8258명으로 서울시내 25개 자치구 가운데 열 번째로 많은 것이다. 또 황 할머니처럼 생활은 어렵지만 기초생활수급대상자에 들지 못하는 차상위 계층도 580가구에 1430명이나 된다.
강남구는 이에 따라 2002년부터 강남구의사회의 협조를 얻어 독거노인이나 한 부모 가정의 가장 등을 대상으로 무료 진료를 해왔다. 올해는 그 수가 독거노인 73명, 한 부모 가정 가장 98명 등 171명이다.
이달부터는 여기에 강남구한의사회 소속 한의원 40곳이 가세했다.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이 219곳으로 늘었다. 이들의 건강상태를 체크해 고혈압·당뇨·관절염 상태를 알려주고, 큰 수술을 제외한 어지간한 병은 치료를 해준다. 또 상·하반기 한 차례씩 유방암 진단도 실시할 계획이다.
이날 진료를 받은 황 할머니는 “웬만한 것은 참고 살았는데 이렇게 무료 진료를 해주니 얼마나 고마운지 모르겠다.”면서 “빨리 나아서 일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할머니는 일원동의 한 노인정에서 근로유지형 자활사업의 하나로 청소를 하고 있다.
황 할머니를 진료한 윤 원장은 무료진료에 참여한 배경을 묻자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하는 것뿐”이라면서 할머니의 손, 발, 무릎, 목에 쉴 사이 없이 침을 꽂았다.
●“어렵다고 숨지 마세요.”
강남구가 무료 진료활동 등을 통해 차상위 계층을 돕고 있지만 그 과정이 쉬운 것만은 아니다. 어렵게 산다는 게 창피해서인지 조사를 해도 쉽게 얘기를 하지 않기 때문이다. 취재에 동행한 강남구 보건소 의약과 김영술 팀장은 “사는 게 바빠서 자신이 차상위 계층에 해당되는지 모르는 분들도 있고, 부끄러워서 내색을 하지 않는 분들도 많아 안타깝다.”면서 “주저하지 말고 조사에 협조해 무료진료를 받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성곤기자 sunggone@seoul.co.kr
2007-3-30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