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인천시에 따르면 반환공여구역인 부평미군부대 부지 59만㎡와 주변 미개발지를 포함한 61만 5000㎡를 ▲공원·녹지 33만 6000㎡(54.6%) ▲병원(또는 대학) 13만 6000㎡(22.1%) ▲도로 9만㎡(14.7%) ▲수영장 3만 2000㎡(5.2%) ▲경찰서 2만 1000㎡(3.4%)로 개발하기로 했다.
이달 말 부평미군부대 종합개발계획을 행정자치부에 제출하고 올해 말까지 지구단위계획 결정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시민단체, 개발계획 반발 공청회 저지
그러나 인천지역 시민단체들은 이같은 시의 계획에 반발, 부평미군부대 전체를 시민공원으로 조성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시민들이 674일간의 천막농성으로 어렵게 되찾은 미군부대 터에 시가 일방적으로 병원 등의 유치를 결정해선 안 된다.”면서 “민·관위원회를 구성해 부대 전체를 시민공원으로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단체들은 지난 8일 시청에서 반대 기자회견을 가진 데 이어,10일 부평구청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시민공청회를 물리력을 동원해 무산시켰다. 이들은 시민 의견수렴 과정없이 일방적으로 세운 계획안을 토대로 형식적인 공청회를 개최하려 했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인천시측은 어이없다는 반응이다. 지난해 11월 시민단체 연합체인 ‘부평미군부대 공원화추진 시민협의회’가 공문을 통해 해당부지에 공원과 대학병원, 경찰서 등을 설치할 것을 요청해 이를 토대로 활용안을 마련했는데 지금와서 다른 얘기를 한다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원래 시의 입장은 전체를 공원으로 조성한다는 것이었으나 시민단체 의견을 반영해 개발안을 마련했는데 이제 와서 정 반대의 주장을 펴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인천시 “아시안게임 수영장 필요”
시는 부지의 90% 이상을 공원으로 조성하는 것으로 계획을 바꿀 수도 있다고 강조한다. 다만 낡고 협소해 민원인들이 불편을 제기하는 부평경찰서 이전부지와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에 대비한 수영장은 확보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문경복 도시계획과장은 “시 계획이 확정된 것이 아니어서 얼마든지 견해를 좁힐 수 있음에도 시민단체들이 의견수렴을 위한 공청회를 무산시킨 것은 유감”이라고 밝혔다.
한편 부평 주민 가운데 상당수는 시민단체와는 달리 미군부대 터에 병원이나 대학이 들어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어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인구 50만명이 넘는 부평지역에 종합병원이 없어 불편을 겪고 있고,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대학도 들어서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이다.
인천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2007-8-14 0:0:0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