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청사를 쓰고 있는 종로구가 전국 자치단체 가운데 최초로 민간자본을 활용한 기부채납 방식의 신청사를 짓기로 했다. 민자 유치가 성공하면 많은 예산이 드는 공공기관 건립에서 ‘관상복합청사’의 선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종로구 청사는 1922년에 지은 수송초등학교 건물로,1975년부터 구청에서 사용하고 있다.85년 된 학교 건물이라 내부가 좁고 낡았다. 사무실이 부족할 때마다 증·개축을 해서 건물 외형도 기형적이다.5층 본관 외에 6층 별관을 지었으나 가건물이라 냉·난방 설비가 없다. 구청 직원들도 고생스럽지만 민원인들도 미로같은 청사에서 이리저리 헤매기 일쑤다. 직원들은 갑갑한 사무실을 ‘닭장’이라고 표현한다. 신청사건립위원회 정준희(전 경기대 교수) 부위원장도 “건물이 사람에게 의지해 버티고 있다.”고 할 정도다.
로구는 새 청사를 짓기로 하고 건립비 1302억원 가운데 210억원을 모았다. 하지만 이 추세라면 앞으로 매년 100억원씩 모은다고 해도 10년 이상 더 걸리는 셈이다. 그래서 민자로 첨단빌딩을 지은 뒤 구청 사무실 외에는 수익시설로 활용하자는 아이디어를 냈다. 이미 남대문세무서가 정부 예산지원 없이 업무용 빌딩을 지어 성공한 사례가 있다. 종로구 관계자는 “민간기업도 욕심을 낼 만한 방안을 만들어 민·관이 서로 ‘윈-윈’하는 새 청사를 건립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