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흡연예방교실 반응 좋아
14일 광진구에 따르면 한 초등학교 5학년생 특별활동 시간에 보건소의 전문 상담사가 진행하는 ‘어린이 흡연예방교실’이 열렸다.
담배의 역사부터 담배가 몸에 해로운 이유 등을 설명한 뒤 학생들을 인체 모형 앞에 불러 모았다. 몸 속이 보이는 인형이 담배를 빨자 연기가 기관지를 통해 들어와 폐를 검게 만들었다. 아이들은 ‘와’ 탄성을 지르고 ‘징그럽다.’며 손으로 입을 가렸다.
재래시장 상인을 대상으로 한 ‘직장방문 금연교실’.4년 경력의 상담사가 금연에 성공한 할아버지의 사례를 소개했다.
72세의 할아버지는 7세 때부터 담뱃대(곰방대)에 불을 붙이는 심부름을 하면서 담배를 배워 지금은 하루 3갑을 피운단다. 할아버지는 “할망구가 권해서 왔지. 나는 평생 골초라 못 끊는다.”고 못을 박았다.
그런데 할아버지가 ‘니코닌 의존도’를 검사받은 결과,10단계 중 2단계에 불과했다. 이 수치는 성인 평균이 6단계, 초보 흡연자가 1∼2단계라는 것. 상담사가 “할아버지는 ‘뻐끔담배’ 수준이라 언제든 끊을 수 있다.”고 말하자 두말없이 끊었다고 전했다.
광진구 보건소는 지난해 지역의 22개 초등학교 가운데 18개교에서 흡연예방교실을 열었다. 중학교 12곳과 고등학교 9곳에서는 ‘청소년 금연교실’을 열었다. 흔히 중학생 때 담배를 배우기 때문에 초등학교 4∼5학년생이 흡연예방 교육에 적기라는 것이다.
●금연자 성공모임 통해 체험 공유
지역의 사업장 6곳에서는 직장방문 금연교실을, 건국대·세종대에서는 대학방문 금연교실을 연다. 일부러 또는 창피해서 보건소를 방문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상담사들이 찾아가는 프로그램이다. 금단현상 완화에 도움이 되는 금연 패치 등도 무료도 나눠 준다.
보건소에 설치된 금연클리닉에는 상담사 4명과 의사 1명이 대기한다. 회원은 수시로 상담을 받고 담배 생각을 지울 수 있는 손가락 운동도 배운다. 매일 오전 10시, 오후 4시에 ‘담배 생각이 절실할 때’에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받는다.‘당신은 오늘로 ○일째 담배를 끊으셨군요.’ 등의 내용이다.
6개월간 금연에 성공한 회원은 ‘금연성공자 모임’을 통해 운동정보를 제공받고, 체험사례도 공유한다. 이들은 4초간 숨을 들이쉬고,4초간 숨을 참은 뒤 6초 동안 숨을 내쉬는 ‘4·4·6 호흡법’의 전도사가 된다.
양현경 상담사는 “개인별로 금연이 필요한 이유를 찾아내 설득하면 성공률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2008-1-15 0:0: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