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다 보니 각 부처들은 휴일인 27일에도 출근, 회의를 열어 실·국이나 본부 구성 등을 위한 묘책을 짜느라 분주한 하루를 보냈다. 특히 규제가 많을수록 감축되는 공무원도 많아진다는 인수위의 지침이 내려오자 기업 관련 규제가 많을 수밖에 없는 경제 관련 부처들의 고민은 더욱 커졌다.
기획재정부로 한 살림을 할 재정경제부와 기획예산처는 실·국별로 조직구성에 관한 의견수렴에 나서는 한편 전체 정원도 조정 중이지만 아직 세부 밑그림은 그리지 못했다. 다만 예산 업무를 별도의 청으로 독립시키는 방안을 한때 고려했으나 지금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는 설명이다.
기존 산업자원부에 정보통신부와 과학기술부의 일부를 흡수한 지식경제부는 통합 조직의 실·국 등 세부 조직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난관에 부딪힌 상황이다. 통합 부처와 기존 부처간 중복, 유사 기능이 많은 데다 조직 배분을 놓고 알력이 만만치 않은 탓이다.
건설교통부는 해양수산부의 일부 기능을 흡수한 국토해양부를 8실 체제로 개편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복수차관체제가 될 것으로 판단,1차관이 국토·건설·부동산쪽 업무를 맡고 2차관은 교통·물류업무를 맡을 계획이다.
농림부는 장관 밑에 농업을 관장하는 1차관과 식품 등 여타 업무를 담당할 2차관을 두고, 실은 정책기획실 하나만 둔다는 초안을 놓고 회의를 거듭하며 직제를 조정하고 있다.
재경부의 금융정책국을 흡수, 조직이 커지는 금융위원회는 아직 직제개편은 시작도 하지 못하고 있다. 재경부에서 몇 명이 오느냐에 따라 조직·인력 구성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대신에 현재 불거진 금감위, 금감원간 업무 조정 문제가 훨씬 시급하다는 분위기다.
최광숙기자·부처종합 bori@seoul.co.kr
2008-1-28 0:0:0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