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관계자는 26일 “이명박 정부 출범을 전후해 흐트러진 공직 분위기를 다잡기 위해 직원들에게 가급적 골프를 자제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이같은 ‘골프 자제령’은 감사원이 지난 21일 중앙부처 자체 감사관계관회의를 열어 대대적인 공직 기강 잡기에 나선 것과 맥을 같이한다.
감사원은 이와 관련,“골프를 아예 하지 못하도록 하는 ‘금지령’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공직사회에서는 감사원의 골프 자제령을 사실상 금지령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과거 김영삼 대통령 시절과 같은 공무원의 골프 금지령까지는 아니라 해도 스스로 알아서 골프를 치지 않도록 유도하는 것이란 해석이다. 중앙부처의 한 관계자는 “비록 감사원 내부 직원들을 상대로 한 골프 자제령이지만 다른 부처 공무원들 입장에서도 감사원의 뜻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는 반응이다.
사실 공직사회에서는 감사원의 지침 이전에 골프를 자제하는 기류가 형성됐다.“앞으로 청와대 참모들은 사생활이 없을 것”이라는 이명박 대통령의 당선인 시절 발언이 “이젠 골프 즐기기는 끝났다.”는 공무원들의 즉각 반응으로 표출됐던 것.
경제부처의 한 국장은 “청와대가 바쁘면 장관이 바빠지고, 그러면 공무원들도 자연히 바빠지게 될 것”이라면서 “앞으로 청와대가 ‘노 할러데이’로 가면 자연스레 골프장을 찾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부처의 한 국장도 “장관들이 일요일 한두 번이야 골프장에서 청와대의 전화를 받겠지만 계속 골프장에서 (청와대) 전화받기는 힘들 것 아니냐.”면서 “그러다 보면 골프장 출입이 자연히 뜸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최광숙기자 bor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