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원구는 26일 지역에 방치된 문관상(文官像) 9기, 동자상(童子像) 3기, 망주석(望柱石) 5기, 비석(碑石) 1기 등 모두 18기의 석인상을 모아 ‘조선시대 묘 석인상 전시공원’을 만든다.
석인상은 외부 침입으로부터 무덤을 수호하는 의미를 갖고 있다. 관복차림에 두 손을 모아 홀(笏·제사절차를 기록한 문서)을 잡고 있는 ‘문관상’, 주요 인물을 수행하는 시자(侍者)로서의 의미가 강한 ‘동자상’,2m 높이로 묘를 쉽게 찾아볼 수 있고, 영혼이 자신의 묘를 알아볼 수 있게 안내 역할을 하는 ‘망주석’, 죽은 이의 일대기와 업적을 기록해 세운 ‘비석’ 등이 있다. 묻힌 사람의 지위와 후손의 세력에 따라 제작 여부나 크기, 조각 수준 등이 다르다.
오는 6월 월계동 820번지 일대(8000㎡)에 들어설 석인상 공원은 우선 18기를 배치하고 수락산이나 불암산 등에 흩어져 있는 수십기의 석인상도 추가 발굴해 전시할 계획이다. 전시될 석인상은 높이가 85∼190㎝에 폭 38㎝ 규모다. 또 월계동 사적 제440호로 양반 분묘에서 서민 민묘까지 다양한 계층의 무덤 1000기 이상과 상석, 문인석, 비석, 동자상 등 수백여기의 석물들이 있는 초안산 조선시대 분묘군을 발굴해 석인상 야외 전시장도 조성할 계획이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