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은 17일 현재 전윤철 전 감사원장 퇴임 이후 김종신 감사위원의 대행체제로 업무가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실제 사령탑이 없다 보니 분위기는 다소 가라앉은 상태다.
감사원장 자리가 한달 넘게 구멍이 생기면서 조직개편과 인사 등도 차질을 빚고 있다. 때문에 감사원장 인선이 청와대 수석 및 내각 교체와 맞물리면서 계속 늦어지자,“더 이상 미뤄지면 안 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적어도 이번 인적쇄신 때 새 감사원장도 반드시 내정돼야 한다는 것.
감사원은 또 박영준 전 기획조정비서관의 사퇴와 일부 비서관직 신설 등으로, 몇몇 비서관들의 자리 이동이 있을 것으로 보고 비서관 인선에도 관심을 쏟고 있다.
과거 청와대 민정수석실 공직기강비서관의 경우 감사원 출신들이 줄곧 맡아왔지만, 새 정부 들어 감사원 출신 비서관은 한명도 없다. 그렇다 보니 이번 비서관 인선에 은근히 기대를 거는 눈치다. 검찰과 마찬가지로 사정 라인이지만 행시 출신들이다 보니 정책과 경제 마인드 등 폭넓은 시각으로 사정 업무를 볼 수 있다고 자부한다.
중앙부처 한 관계자는 “청와대에 파견나온 공무원을 보면 총리실, 감사원을 제외하고는 자신의 ‘친정’부처를 대변해 일하기 일쑤다.”면서 “쇠고기 협상에서 봤듯이 각 부처를 컨트롤할 수 있으며 정책을 종합적·중립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인사들의 기용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최광숙기자 bor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