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은 공원, 지하는 깔끔한 재활용 시설… 학생·공무원 방문 잇따라
강북구의 재활용품 선별처리장이 새 견학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8월 신축된 곳이라 쓰레기 처리장이라 느끼지 못할 정도로 깨끗한 설비를 갖추고, 처리 절차도 체계적이어서 보고 배울 점이 많다. 하지만 버릴 쓰레기와 재활용품을 신속히 잘 분리하려면 주민들의 협조가 절실하다는 지적이다.●지하 4층 규모에 체계적 선별
지난달 23일 번3동 옛 드림랜드 정문 근처의 강북재활용품선별처리장에는 지방에서 온 중학생 등 120여명이 방문했다.
지상에서 보면 흔한 동네 공원인데, 지하로 내려가자 4층 규모의 선별처리장(부지 8126㎡)이 나타난다. 학생들은 큰 규모나 신기한 처리 절차를 보며 “야∼”라고 감탄했다. 이날 견학에는 강북구의 자매도시인 강원 고성군·충남 당진군·전남 보성군의 학생 90명과 강북청소년구정평가단 30명이 참여했다. 신입 공무원, 주민 프로그램 회원에게도 필수 견학 코스다.
선별처리장 지하 4층에 쓰레기봉투를 가득 실은 운송차가 들어왔다. 차로 싣고 오면서 봉투를 갈라 대충 일반쓰레기와 재활용품을 분리한 상태였다.
스티로폼은 따로 빼내 감용기실로 직행했다. 지게차가 쓰레기 더미를 큰 구멍에 붓자 쓰레기는 컨베이어 벨트에 실려 3층 선별실로 옮겨졌다. 선별실에서는 환경미화원과 공공근로작업자 등 129명이 컨베이어벨트 옆에 줄지어 서 재활용품을 골랐다. 선별된 병, 종이, 의류, 플라스틱, 철 등 16종의 재활용품은 제각각 창고에 쌓였다. 그동안 모아둔 병 등은 필요한 곳으로 실려나갔다.
선별처리장에서는 하루 평균 35t의 쓰레기 더미를 처리한다. 이 가운데 44%가 재활용을 못하는 최종 쓰레기로 버려진다.
●버릴 때부터 분리수거 절실
선별처리장은 강북·노원·도봉 등 3개 자치구의 재활용품을 하루 100t씩 공동처리하기로 했다. 하지만 처리능력이 미흡해 노원과 도봉 지역 쓰레기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가장 큰 이유는 주민들이 가정에서 재활용품을 분리할 때 일반 쓰레기도 봉투에 함께 담는 경우가 잦기 때문이다.
선별처리장에서도 분리는 손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쓰레기를 담을 때부터 주민 협조가 절실한 셈이다.100t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인력과 장비를 총 가동해도 처리량은 46.34t, 최종 쓰레기는 31%에 그쳤다.
구는 최근 재활용품 분리수거 개선 계획을 마련하고 주민 홍보에 나섰다. 우선 동네마다 수거일을 격일제에서 주2회 요일제로 바꾸었다. 전에는 수거일인 짝수일은 물론 홀수일에도 쓰레기봉투가 집 앞에서 뒹굴었다. 하지만 월·목요일에 수거하자 적어도 화·수요일에는 동네가 깨끗해지는 효과를 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2008-8-5 0:0: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