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대 규모의 여성 항일운동인 ‘제주 해녀 항일운동’ 당시 불렸던 ‘해녀 항일가’가 처음으로 CD로 제작돼 공개됐다.
제주해녀박물관은 1931년 가을부터 이듬해 1월까지 일제의 수탈 조직으로 전락한 제주도해녀어업조합에 항거하기 위해 제주의 부속섬인 구좌읍 우도면과 성산읍 일대에서 불타올랐던 해녀 항일운동 당시 불렸던 ‘해녀 항일가’를 담은 ‘제주 해녀의 노래’라는 CD를 제작했다고 11일 밝혔다.
해녀 항일가는 우도 출신의 해녀인 강관순(1909∼1942)씨가 1933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검거돼 2년 6개월간 옥고를 치르던 중 지은 총 4절의 노래다.
강씨는 항일 비밀결사의 핵심조직원으로, 해녀를 중심으로 항일운동을 확산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으며 독립군에게 군자금을 지원하는 등 해녀들에게 항일 의식을 고취시키는 데도 큰 역할을 했다.
이번에 제작된 CD에는 이 노래를 유일하게 기억하고 있는 현존 해녀인 김춘산(71) 할머니의 목소리가 실려 있다.
또 제주도 무형문화재 1호인 ‘해녀노래’와 돈을 벌기 위해 육지부로 출가한 해녀들이 물질을 하며 고향과 가족을 그리며 부른 ‘출가 해녀의 노래’, 해녀들이 여흥을 즐기며 불렀던 ‘해녀 놀이요’ 등이 담겨 있다.
해녀박물관 좌혜경 연구사는 “해녀 항일가가 공식적으로 녹음돼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고, 마지막 4절이 실제 노래로 불려진 것도 처음”이라고 말했다.
제주 동부지역의 해녀들은 일제 강점기인 1931∼1932년에 일제가 부당하게 입어료를 물리고 어획물 판매권을 독점하는 등 해녀들을 수탈하자 집단으로 시위를 벌이고 주재소를 습격하는 등 격렬한 항일운동을 했다.
제주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
2008-8-12 0:0:0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