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원주∼강릉간 복선전철사업의 예산 반영이 늦어지자 강릉 시민들이 서울 집회를 준비하는 등 반발하고 있다. 수도권과 인접한 청정관광자원과 항만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새 정부 들어서도 복선전철사업의 예산 반영이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25일 강릉시의 모든 도로 구간에는 ‘원주∼강릉간 복선전철 조기 착공을 촉구한다.’는 내용의 플래카드 수천장이 걸려 있다. 플래카드에는 ‘복선 전철 장밋빛 공약이 이제 시민들의 피맺힌 절규가 되고 있다.’,‘영동주민 더 이상의 무대접은 참을 수 없다.’ 등 다양한 내용의 호소글이 적혀 있다. 새달 5일에는 3만명의 시민이 참여하는 대규모 궐기대회와 서울 집회도 갖는다.
최근 한승수 총리가 강원도를 방문하 자리에서 “(원주∼강릉간 전철사업은) 동계올림픽 유치가 선행돼야 한다.”고 밝혀 파문을 더 확산시키고 있다.
주민들은 “열악한 사회간접자본(SOC) 때문에 물류비 문제로 기업이 자리잡기 힘들고 이에 따른 일자리 부족으로 젊은이들이 지역을 떠나 돌아오지 않는 등 수십년간 정부 정책 소외로 인해 지역은 침체 일로를 걷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지역균형발전 차원으로 진행된 혁신도시, 기업도시 등도 영동권에서는 단 한 곳도 유치되지 못해 영동권 주민 소외감이 극대화되고 있다. 최명희 강릉시장은 “원주∼강릉간 복선전철 사업이 완료되면 현재 원주∼제천∼영월∼태백∼동해∼정동진∼강릉 노선 255㎞에서 소요되는 5시간5분 거리가 44분으로 대폭 단축된다.”고 말했다.
강릉 조한종기자 bell21@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