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재건축사업의 추진이 부진해 주민들이 애를 태우는 중곡동, 군자동, 능동의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대상이다.
21일 광진구에 따르면 현재 추진 중인 31개 주거환경 개선사업지 중 일부는 주민간 불협화음, 법률적 미비, 담당 공무원의 관행적 업무처리 등에 가로막혀 일의 진척이 부진한 게 사실이다.
예컨대 재건축·재개발사업은 서울시 도시개발 기본계획에 포함돼야 하는 만큼 구청 직원이 서울시에 서류만 제출하고 기다려서는 안 된다. 직원이 서울시 담당공무원을 찾아가 사업 내용을 설명하고 조속한 추진이 필요한 이유를 대면서 설득해야 한다.
미비한 서류가 무엇인지 서둘러 파악해 보완 서류를 다시 제출해야 한다. 또 서울시 도시건축위원회에서 광진구의 개발사업이 우선적으로 채택되도록 건축위원인 서울시의원 등을 직접 찾아가 사업을 설명해야 한다.
아울러 도시건축위에서 채택될 것을 예상하고 해당 사업에 대한 연구용역을 발주하고, 주민 동의도 미리 구해놓고 , 결정이 나면 사업을 바로 추진한다.
이 같은 노력으로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제대로 추진되면 정송학 구청장이 포상을 하기로 한 것이다.1등부터 3등까지 심사를 해 100만~500만원의 인센티브를 준다.
광진구는 보통 3~4년 걸리는 재개발·재건축사업을 최소한 6개월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일이 빨리 추진되면 지역의 미관도 그만큼 깨끗하게 바뀔 수 있다.
아울러 무엇보다 주민들의 숙원을 공무원이 적극 나서 해결하면 주민들이 구청을 신뢰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광진구 관계자는 “직원들에게 일하는 분위기를 강조하는 정 구청장의 의지가 반영된 제도”라면서 “잘 시행되면 주민들의 입가에서 웃음이 떠나지 않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