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비 추가 부담 때문에 수용할 수 없다.”
경기 화성시 향남 2개발지구와 서수원~평택간 민간자본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동서간도로’ 건설사업이 사업 주최측과 화성시의 이견으로 표류하고 있다.
21일 경기도와 화성시 등에 따르면 국토해양부는 1만 4000 가구(4만 1000명)가 입주하는 향남2지구 택지개발사업과 관련한 광역교통개선대책을 2006년 10월 확정했다.
향남면 하길·방축리 일원 317만 6000㎡에 추진 중인 향남2지구 사업은 2011년 12월 완공 예정이다.
이에 따라 한국토지공사는 향남2지구와 수원~오산~평택간 민자고속도로를 잇는 길이 6㎞의 동서간도로(4차선)를 신설하고 연결 지점에 IC를 설치하기로 했다.
하지만 도로건설에 따른 도시관리계획 결정권을 갖고 있는 화성시가 제동을 걸면서 사업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수원~평택간 민자고속도로와 연결되는 지점에 양감 IC(가칭)를 설치하면 양감면 송산리 마을이 양분되고 녹지축이 단절되는 등 주민피해가 우려된다는 이유에서다.
화성시는 “IC가 설치되면 일부 마을이 양분돼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는다.”면서 “이미 완공된 향남1지구에서 국지도 82호선을 따라 도로를 건설하는 방안으로 노선을 변경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토공과 민자고속도로를 건설 중인 경기고속도로㈜측은 “향남2지구 개발에 따른 교통량을 흡수하기 위해선 동서간도로 건설이 필요하다. 노선을 변경하면 또 다른 민원과 함께 추가 비용을 발생시키게 된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토공과 경기고속 관계자는 “민자고속도로 완공일(2009년 10월29일)을 감안하면 늦어도 올해 말에는 IC설치 공사에 착수해야 한다.”면서 “이때를 놓치면 100억원가량의 공사비가 추가로 소요되고 고속도로의 교통흐름을 차단하는 등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고 말했다.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
2008-11-22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