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실 현금 1억7200만원에 이르러
15일 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에 따르면 지난해 접수된 유실물은 하루평균 90.6건 꼴인 3만 3087건으로 집계됐다. 2007년의 2만 7111건에 비해 22% 늘어난 것이다. 유실물이 해마다 증가하는 까닭은 역시 자신의 물건에 대한 애착심이 줄어들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유실물 중에는 손가방이 전체의 28.1%인 9285건으로 가장 많았다.
흔히 전동차 선반 위에 가방을 올려 놓았다가 깜박 잊고 내리는 바람에 빚어지는 일이다. 그 다음이 휴대전화, MP3 등 전자제품 17.4%(5744건), 의류 7.6%(2531건), 서류 7.5%(2482건) 등 순이다. 이어 손지갑에 든 현금 6.4%(2107건), 시계 등 귀금속 0.2%(52건) 이다. 휴대전화는 전동차 의자와 등받이 사이의 빈틈에 끼어 있는 사례가 많다. 잃어 버린 현금의 총액은 1억 7200만원에 이른다.
2007년과 비교하면 전자제품 유실물은 1685건 늘었고, 가방은 931건, 의류는 301건 증가했다.
유실물 발생 건수를 월별로 구분하면 7월에 3089건, 5월 3068건, 10월 3007건, 9월 2873건, 8월 2827건 등이다. 반면 1월은 2216건, 2월 2281건, 3월 2647건이다. 결국 기온이 높으면 신경이 느슨해지면서 물건을 꼼꼼하게 챙기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유실물 연락해도 그냥 버리라는 대답
그러나 다행히 잃어버린 물건의 72%(2만 3795건)가 주인을 되찾는다. 유실물이 발생하면 1·2호선의 경우 시청유실물센터에, 3·4호선은 충무로센터에 접수된다. 이어 서울메트로 홈페이지에서 유실물의 사진과 접수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유실물에 연락처를 남겼다면 직원이 먼저 연락을 준다. 본인의 신분증만 지참하고 찾으면 된다.
1년 6개월이 지나도 찾아가지 않는 현금과 귀중품은 국가에 귀속되고, 그외 물품은 사회복지단체에 기증된다. 유실물이 제주인을 찾는 사례가 늘고 있는 까닭은 분실자가 새삼 물건을 소중하게 여기기 때문이 아니라 인터넷 이용과 지하철공사 측의 노력 덕분으로 보인다.
서울메트로 관계자는 “애써 분실물을 찾아 가라고 먼저 연락을 해도 필요없으니 그냥 버리라고 대답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고 말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2009-1-16 0:0:0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