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시설·신세계 등 속속 개장 영화·유통·국제회의 중심지로
부산 해운대의 센텀시티가 ‘한국의 맨해튼’을 꿈꾼다. ‘세계의 수도’ 미국 뉴욕 못지않은 영화 및 영상, 정보통신, 유통, 국제전시컨벤션 기능을 갖춘 도시로 거듭나고 있다.24일 센텀시티에서 영상후반작업시설이 개장된다. 촬영한 필름을 편집하고 컴퓨터 그래픽을 입히는 영상후반작업시설의 개장은 영화 촬영에서부터 편집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처리하는 영화제작 원스톱 시대의 개막을 의미한다.
영상후반작업시설은 인근에 건립될 부산국제영화제 전용관인 부산영상센터 ‘두레라움’(2011년 10월 준공)과 함께 부산이 영화·영상문화도시로 부상하는 데 주춧돌이 될 것이라고 시는 밝혔다.
다음달 3일 국내 유통업계가 주목하는 동양 최대 규모의 도심형 복합쇼핑리조트인 신세계 센텀점이 개장한다. 신세계 센텀시티는 전체 면적 28만 4000여㎡로 투자비만 1조원이 들어가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쇼핑은 물론 국내 최고 수준의 문화, 레저, 엔터테인먼트 등을 한자리에서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갖춘 도심형 복합 쇼핑리조트이다. 신세계 센텀점은 롯데백화점 센텀점 등 기존 대형 유통점과 함께 센텀시티가 유통 중심지로 비상하는 데 힘을 실어 줄 것이라고 시는 전망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영상후반작업시설과 신세계 센텀점은 국제회의 및 정보통신산업의 중심도시라는 기존 이미지에 유통과 영화·영상중심도시라는 색깔을 덧씌우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센텀시티는 이미 국제회의의 중심지다. 센텀시티에 자리한 벡스코는 한·일월드컵 조추첨 장소로 지구촌에 널리 알려졌다. 또 200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다시 세계 뉴스의 중심이 됐다. 벡스코는 세계적 경기불황에도 지난 한해 600여건의 전시와 국제회의를 유치, 호황을 누렸다.
센텀시티는 이미 정보통신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부산정보산업진흥원과 부산디자인센터, 시청자 미디어센터가 들어섰다. 지식, 정보통신, 전기, 전자, 연구개발 분야 업체를 수용할 아파트형 공장도 속속 들어서고 있다.
센텀시티 개발사업은 옛 수영비행장 118만 8000㎡에 ‘미래형 첨단도시 조성’이라는 비전을 안고 1997년부터 시작됐다.
부산 김정한기자 jhkim@seoul.co.kr
2009-2-18 0:0: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