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C 노하우 두바이 업체 전수 한국기업 중동진출 MOU 체결
│아부다비 전광삼특파원│서울시가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바이(BUY) 서울’이라는 구호를 내세우고 전방위적 해외 마케팅에 나섰다. 최근 오세훈 시장의 중국 방문과 라진구 행정1부시장의 아랍에미리트연합(UAE) 방문은 중국 관광객과 중동 자본을 겨냥한 세일즈의 일환이다. 지난 6일부터 14일까지 8박9일간 UAE와 중국에서 펼쳐진 서울시의 해외 마케팅 성과를 두 차례에 걸쳐 소개한다.라진구 서울시 행정1부시장이 지난 7일 아랍에미리트연합 아부다비 시내 로타나 호텔에서 열린 투자설명회에서 아부다비 관계자들과 투자자들을 상대로 서울시의 대형 프로젝트를 설명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
출국 직전 북한의 장거리 로켓발사 시험으로 오 시장 대신에 참석한 라 부시장은 이날 포럼을 주관하며 각국 정부 관계자 등을 맞았다. 라 부시장은 “서울은 뛰어난 물류 인프라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노동생산성 증가율 2위의 우수 인력을 보유한 정보기술(IT) 강국의 수도”라며 시가 추진 중인 여러 프로젝트를 소개했다. 이어 “서울에 투자하는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행정·세제·교육 등 모든 분야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관심을 끌 만한 인센티브를 제시했다.
투자자들의 반응은 예상을 뛰어넘어 뜨거웠다. 행사 직후 상당수 투자자들이 라 부시장을 찾아가 서울시 프로젝트에 투자할 수 있는 구체적 방법과 절차를 물었다. 특히 첨단 IT 클러스터인 서울 디지털미디어시티(DMC)와 친환경 연구개발(R&D) 클러스터인 마곡 R&D 시티, 국제금융 허브가 될 국제금융공사(IFC) 서울 등에 관심을 보였다.
시 출연기관인 서울산업통상진흥원(SBA)은 이날 카엑(KAEC) 프로젝트를 추진 중인 두바이 국영 개발업체 이마르 이코노믹시티사(社)와 DMC 운영 노하우 전수 및 한국 기업의 중동 진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카엑 프로젝트는 두바이에 총면적 173㎢의 항만·공업·금융·거주·교육단지를 갖춘 물류 중심의 경제신도시를 건설하는 초대형 사업이다.
두바이에서 투자자문회사를 운영하는 리차드 리(42·한국명 이용구) 변호사는 “이곳 투자자들도 서울을 매력적인 투자처로 보고 있지만 지금까지는 믿을 만한 라인을 잡지 못해 직접투자를 꺼리는 분위기였다.”면서 “서울시의 투자설명회와 양해각서 체결은 서울 투자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부다비의 경제력을 일반인들의 상상을 뛰어넘는 수준”이라며 “매력 있고 믿을 만한 투자처만 있다면 얼마든지 오일 달러를 쏟아부을 수 있는 사람들”이라고 귀띔했다.
실제로 아부다비에선 글로벌 경제위기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도시 전체가 거대한 공사장을 방불케 했다. 황량한 사막 한 가운데 마천루의 초고층 빌딩들이 앞다퉈 들어서고 있었다.
아부다비의 이 같은 경제력은 석유매장량에서 나온다. 두바이(40억 배럴)보다 무려 20배가 넘는 900억 배럴의 석유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다. 게다가 지난 2007년 이후 국제 유가 급등으로 엄청난 부가소득까지 올린 상태다.
hisam@seoul.co.kr
2009-4-21 0:0: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