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 트레킹 네트워크 스타트
지역의 문화와 역사, 자연경관을 온몸으로 느끼며 서울을 걸어서 한바퀴 돌 수 있는 장거리 트레킹 순환코스가 생긴다. 서울이 자전거 이용과 산책 등으로 상징되는 녹색도시로 변신을 꿈꾸고 있다. 서울시는 2011년 말까지 서울의 도심과 외곽을 둘러싸고 있는 내사산(內四山)과 외사산(外四山)을 각각 원형으로 연결하는 ‘그린 트레킹 네트워크 사업’을 시작한다고 16일 밝혔다. 조성되는 녹색길은 무려 137㎞에 이른다.내사산 코스는 남산, 인왕산, 북악산, 낙산을 중심으로 광화문, 동대문, 서울시청, 숭례문 등 서울 도심을 지나거나 인접해 있다. 서울성곽과 연계해 문화·역사를 느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코스는 20㎞(등산로 12㎞, 그린웨이 8㎞) 로 일반 시민이 걸으면 13시간쯤 걸린다.
외사산 코스는 용마산, 관악산, 덕양산, 북한산은 물론 양재천과 우면산, 아차산, 수락산, 안양천 등 ‘물 좋고 산 좋은’ 서울의 외곽을 느낄 수 있는 코스로 117㎞에 이른다. 숲길의 특성을 살려 자연생태 탐방로도 정비된다. 외사산 코스를 한 번 돌아보는데 55시간쯤 걸린다. 서울시는 이를 위해 시가지와 도로 등으로 끊어진 구간에 공원과 선형 녹지를 활용, 그린웨이를 조성한다. 도로로 단절된 구간은 연결다리를 만들고, 하천구간은 제방이나 둔치길을 활용해 숲길로 이어나갈 계획이다.
도심의 그린웨이는 차선축소 등으로 보행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고, 나무와 꽃 등을 심는다. 또 내사산 코스의 장충단고개, 창의문 구간과 외사산 코스의 망우리고개, 천호대로, 서오릉고개 구간에 폭 30m 이상의 생태다리를 만든다. 특히 내사산 연결다리는 사라진 서울 성곽을 형상화할 예정이어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시가지 구간은 차선과 도로변 주차장을 줄여 보행 공간을 확보한다. 또 등산로의 낡고 훼손된 콘크리트·철재 계단은 목재로 교체하고, 토사 유실로 훼손된 구간은 흙덮기, 노면 고르기 등을 통해 정비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우선 희망근로프로젝트 참여자 등이 내사산 구간부터 단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안승일 서울시 푸른도시국장은 “1단계로 오는 12월까지 비교적 정비가 쉬운 등산로 구간를 점검하고 내년부터 연결다리 설계, 그리웨이 확보 등 본격적인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라면서 “2011년이면 서울의 자전거 도로망과 트레킹 코스는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09-6-17 0:0: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