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리한 실적경쟁, 꿈꾸기 힘든 진급구조, 열악한 복지 등으로 이직을 결심한 10년차 수사관의 사연을 소개한 본지 보도 이후 “10만 경찰의 현실을 대변했다.”는 현직 경찰과 경찰 가족들의 ‘공감’ 이메일 및 전화가 쇄도했다. <서울신문 7월28일자 1면>
보도 첫날인 28일부터 일주일 동안 기자에게 도착한 이메일이 100여건에 달했고 40여통의 전화가 걸려 왔다.
부산의 한 경찰서에서 근무하는 10년차 경찰관 아내도 절절한 사연을 보내왔다.
익명을 요구한 이 40대 주부는 “아기 아빠가 최근 2년 새 부쩍 힘들어하고 직업에 회의감을 느끼고 있다. 온갖 궂은일을 도맡아 해도 ‘민중의 지팡이’가 아닌 ‘민중의 곰팡이’ 등 비난만 받기 일쑤”라면서 “G20 등 대규모 행사 때는 ‘음주 금지령’까지 내려오는 등 내부 조직도 서로 위하기보다는 실적 압박하기에만 급급한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수사과 형사를 아들로 뒀다는 60대 노모는 “순경으로 시작해 죽어라 범인을 잡아도 아들이 진급시험에서 밀려 여전히 하위직”이라며 “연일 지방출장을 가지만 출장비도 제대로 챙겨 받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라고 안타까워했다.
서울시내 한 경찰서에 근무하는 A경사도 “10만여명의 하위직 경찰관들이 이런 과다한 성과주의, 진급, 복지 문제 등을 짚은 기사에 고개를 끄덕이며 공감하고 있다. 현재 경찰 조직 내부에서도 이슈화돼 논쟁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경찰 수뇌부는 “고문 경찰, 항명 파동 등으로 인한 성과주의 부작용 관련 비판이 이제 좀 잠잠해졌는데 또 이런 기사가 나와 곤혹스럽다.”면서 일선 하위직 경찰 현장과 동떨어진 반응을 보였다.
백민경기자 white@seoul.co.kr
2010-08-04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