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디자인수도 선정 통한 기여분 8910억원
서울의 브랜드 가치가 ‘세계디자인수도’(WDC) 선정을 통해 8900억원 이상 상승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세계디자인수도 콘퍼런스 오세훈(왼쪽 세번째) 서울시장이 8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세계디자인수도(WDC) 서울 국제 콘퍼런스’에서 국내외 참석자들에게 행사장 앞에 마련된 동대문디자인플라자 모형의 의미 등을 설명하고 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
●산업정책연구원 연구 결과
지식경제부 산하 산업정책연구원은 8일 서울시가 신라호텔에서 개최한 ‘세계디자인수도(WDC) 서울 국제콘퍼런스’에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원은 “올해 서울의 도시 브랜드 자산가치가 409조 9472억원으로 지난해보다 22조 4381억원 늘어났다.”며 “이 중 세계디자인수도 서울의 기여분이 8910억 7900만원이다.”고 밝혔다.
세계디자인수도는 국제산업디자인협의회가 디자인을 통해 사회, 경제, 문화적 발전을 이루려는 도시에 부여하는 것이다. 서울시는 2007년 샌프란시스코 총회에서 2010년 세계디자인수도로 선정됐다.
산업정책연구원은 2000년부터 국내 기업 브랜드의 자산가치를 화폐금액으로 평가하고 있고, 지난해부터 도시 브랜드 가치도 연구하고 있다.
브랜드 자산가치란 ‘브랜드’에 대한 과거 여러 활동이 3년간 효과를 낸다는 가정하에 추가 마케팅 활동을 펼치지 않아도 앞으로 3년간 브랜드로 벌어들일 수 있는 수익을 의미한다.
산업정책연구원은 “해외에 거주하는 외국인 318명을 대상으로 세계디자인수도 서울의 이미지 변화를 측정한 결과 세계디자인수도 지정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은 서울에 대한 선호도가 25% 포인트, 방문 의도가 26% 포인트 높아졌다.”고 말했다. 서울시가 세계디자인수도로 지정된 이후 서울의 공공시설물 디자인 수준과 기업의 디자인 역량 등에 대한 인식이 좋아지고, 서울이 기업 하기 좋은 도시라는 이미지를 심어 준 것이라는 설명이다.
세계디자인수도 마지막 공식행사인 콘퍼런스에 참가한 오세훈 시장은 “외형을 예쁘게 꾸미는 디자인을 뛰어넘어 도시를 풍요롭게 변화시키고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디자인, 이를 통해 도시의 부를 창출하고 경쟁력을 높이는 디자인을 지속할 것임을 약속한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콘퍼런스를 마치고 차기 세계디자인수도인 핀란드 헬싱키의 주시 파루넨 시장에게 WDC 명판을 전달했다.
한편 연구원은 지난달 한국의 대표적인 기업에 대한 브랜드 가치도 발표했다. 삼성전자의 브랜드 가치가 65조 81억원으로 11년 연속 부동의 1위를 기록했다. 뒤를 이어 현대자동차(25조 2981억원), LG전자(22조 697억원), 기아자동차(12조 6222억원), KT(10조 5396억원) 순이다.
김지훈기자 kjh@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