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교육청, 교육진단 용역결과
‘부자 도시’ 울산의 학부모는 다른 지역 학부모보다 돈을 많이 벌지만, 중·고교생 자녀에게 과외는 덜 시킨다. 이는 고교를 졸업해 생산직 사원으로 취업하는 게 대졸자보다 더 많은 임금을 받을 수 있다는 생각 때문이다.
|
울산지역 학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수준은 초등학교의 경우 71.15점으로 전국 대도시 평균 47.52점보다 23.63점이 높았다. 중학교는 65.43점로 전국 평균(44.84점)보다 20.59점, 고등학교는 71.18점으로 평균(45.99점)보다 25.19점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국어, 영어, 수학 중 1개 이상 과목의 과외참여율은 중학교의 경우 43.50%로 전국 평균 73.53%보다 30.03% 포인트 낮았다. 고교도 50.90%로 평균(59.53%)보다 8.63% 포인트 낮았다. 다만 초등학교는 58.10%로 전국 평균(48.59%)보다 9.51% 포인트 높았다.
연구소는 학부모들이 ‘고졸 생산직=고임금’이라는 자신의 직업적 특성 때문에 자녀들에게 과외를 상대적으로 덜 시키는 것으로 분석했다. 고졸 학부모들은 대학을 나온 동기보다 더 많은 돈을 벌고 있고, 자신의 직업이 자녀에게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으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자녀 교육열에 지나치게 집착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경력 10년 미만의 교원 비율은 45.91%로 전국 평균 32.24%보다 13.67% 포인트 높았다. 학력 상위권 학생이 많이 재학하는 사립학교의 비율이 28.21%로 7개 도시 중 6번째였다.
울산 박정훈기자 jhp@seoul.co.kr
2011-10-1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