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청년부상제대군인‘ 토크 콘서트 개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서초, 양재AI특구 입주 스타트업 모집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노원 어르신 식생활 책임지는 ‘먹고반하다’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송파 공영주차장 24곳 무인 주차시스템 완료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테마로 본 공직사회] 별정직 현황은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총 5167명 근무… 중앙 비서직·지방 보사분야 ‘최다’

별정직 공무원은 중앙 1712명, 지방 3455명 등 모두 5167명이다. 중앙 행정부처에는 60개 분야에서 1712명이 근무하고 있다. 비서관이나 비서 등 비서직이 292명으로 가장 많고, 직업훈련교사(134명), 한국정책방송(KTV) 기자 등 방송직(111명), 예비군 담당(84명), 전산(73명), 조사 연구(68명), 비상기획담당(57명), 홍보·공보(53명) 순이었다. 속기사, 조명 음향, 탐지견 관리, 항공기 정비 등 전문화된 이색 직종들도 눈에 띈다. 이 가운데 10~20년 근무자가 384명이었고, 20년 이상 근무자도 494명이나 돼 절반 넘는 중앙 부처 별정직 공무원들이 10년 이상의 장기근무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별정직 중앙공무원 가운데 고용노동부 소속 서울지방 노동위원장, 국토해양부 소속 중앙해양안전심판원장, 지식경제부 소속 무역위원회 상임위원 등은 고위 공무원단 가급(옛 1급)에 해당하는 고위직급 별정직들이다. 고위직으로는 각종 위원회의 상임위원들도 적지 않다.

지방자치단체에서는 3709명 정원에 34 55명이 근무 중이다. 고위 공무원단 가급 상당은 15명, 나급 상당(옛 2급)은 2명이다. 6급 상당이 2223명으로 제일 많았고, 7급 상당(831명), 8급 상당(185명), 5급 상당(119명) 순이었다. 분야도 100여종으로 중앙 행정부에 비해 다양했다. 보건진료원 1756명 등 보사 분야가 1925명으로 가장 많았고, 비서직은 267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농촌 지역이 많은 특성상 농기계 교관, 조경 전문 요원 등과 문화재 관리원 등도 있었다. 행정사무 보조 분야도 281명이나 됐다. 특히 지자체 별정직의 절반에 가까운 1599명은 11년에서 20년 동안 승진을 못 한 채 한 직급으로 근무하고 있었다. 6년에서 10년 사이(649명), 3년에서 5년 사이(469명) 순으로 승진이 일반직에 비해 현저하게 늦었다.

이석우 선임기자

2012-03-12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Leaders Today

소통·활력… 운동에 빠진 양천 주민들

생활체육교실 2기 참여자 모집 러닝크루·피클볼 등 4종목 운영

강동, 저스피스재단과 문화예술 발전 협약

강동중앙도서관 30일 개관 기념 마음건강·예술치유 프로그램 지원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