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울산 울주군에 따르면 배 과수농가는 올해 울산배 800여t(26억원 상당)을 미국, 뉴질랜드, 타이완 등에 수출할 목표를 세웠으나 지난 4~5월 잦은 비로 발생한 흑성병(검은별무늿병)이 확산되면서 작황 부진 피해를 보고 있다. 울산배는 2010년 688t에 이어 지난해 727t을 수출했으나 올해는 수확량 감소로 지난해 수준에도 못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높은 당도와 수분이 많은 울산배는 1998년 첫 수출길에 오른 이후 시원하고 아삭아삭한 맛으로 세계 시장에서 인정을 받고 있다. 2002년에는 800t 이상을 수출하면서 최대 성과를 올리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새 병해충으로 수확량이 감소하면서 해외 수출도 주춤하고 있다.
울산시 농업기술센터의 표본조사 결과 올해 지역 과수농가의 39%가 전염병인 흑성병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과수농가는 지역별로 최고 80% 이상 감염률을 주장하고 있다.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지역 과수농가의 과실 39%가 흑성병에 걸린 것으로 조사됐다.”면서 “올해 수확량은 1만 4754t가량 될 것으로 조사돼 지난해 2만 3419t보다 37%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흑성병은 봄 개화기 잦은 비와 저온 현상이 계속되면 발병하는 병해(곰팡이)로 열매와 잎에 타원형의 검은색 반점이 생겨 광합성 작용을 방해, 잎을 고사시키고 과실의 껍질을 검게 변색시켜 성장장애를 유발하는 병이다.
울산 박정훈기자 jhp@seoul.co.kr
2012-08-07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