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보고서 “재정자립도 59%로 감소…선별적 정책 시행돼야”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 관련 지출 비중이 5분의 1 수준까지 늘어나 50% 후반대에 불과한 지방정부의 재정자립도가 더욱 감소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한국경제연구원은 24일 ‘복지지출 증대와 지방재정 악화의 인과관계 연구’ 보고서를 통해 특별·광역시, 시·도·군·구 등 244개 지자체의 지출을 분석한 결과 지방정부의 재정부담이 심화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정치·사회적인 복지수요의 증대로 복지비용이 지속적으로 늘면서 지자체 총지출에서 사회복지 관련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2006년 13.3%에서 2011년 20.2%로 7% 포인트 가량 확대됐다.
이는 지방이양사업의 재원이 되는 분권교부세(내국세의 0.94%)가 증가하는 복지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지자체의 총괄회계 기준 세입에서 지방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3∼2011년 사이 2.3%에서 3.8%로 악화됐고 재정자립도 또한 감소를 거듭하며 2011년 현재 58.9%에 머물고 있다.
보고서는 이런 지방정부의 재정난 해소를 위해서는 무차별적인 복지확대 정책보다는 선별적인 복지지출 정책이 시행돼야 한다는 대안을 제시했다.
이는 노동비 관련 복지비용 지출이 노동자들의 생산성 향상, 재취업 지원, 생계 안정 및 고용안전망 제고 등을 이끌어 취업률을 높이고 기업과 가계의 가처분소득을 증가시킴으로써 지방경제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다는 분석 때문이다.
보고서는 선별적인 복지정책 시행을 단행하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요건으로 지방재정 분권의 확립이 전제돼야 한다면서 중앙재원 의존도에 대한 엄격한 관리도 수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 연구위원은 “현재 세입 대비 중앙재원 의존 비중이 50%에 육박하거나 이미 넘어서 버린 시·도·군·구가 2011년 현재 237개에 달한다는 점에서 향후 재정위기 가능성에 대비한 선제적 대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