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구 전 부서 돌며 ‘100시간 소통’
직원들과 릴레이 토론을 벌이며 공직문화 혁신 작업에 나서고 있는 이창우 동작구청장은 24일 “공직문화는 바뀔 수 있고 또 바뀌어야 한다”면서 “공직자의 노력이 주민들의 이익으로 환원될 수 있도록 공직자들과 함께 바꿔 나가겠다”고 힘줘 말했다. 이 구청장이 특히 강조하는 것은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조직 문화 개선이다. 직원들과의 토론에서 이 구청장은 반드시 ‘주민’이라는 단어를 언급했다.
|
지난 20일 동작구 기획상황실에서 이창우(왼쪽) 구청장과 홍보전산과 직원들이 함께 릴레이 토론을 하고 있다. |
지난 10월 1일부터 시작된 릴레이 토론의 한 부서당 평균 시간은 3시간. 전체 34개 부서를 따지면 100시간에 이른다. 현재까지 모두 12개 부서(전체 34개 부서)가 릴레이 토론을 마쳤다. 참여한 직원은 300명, 토론 자료는 1500여쪽에 이른다. 토론은 12월 말까지 계속될 예정이다.
지난 20일에는 구 기획상황실에서 이창우 구청장과 홍보전산과 직원들 간의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주제는 ‘홍보 전략’이었다.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구 전체를 아우르는 홍보전략이 필요하다”고 이 구청장이 운을 떼자 익숙지 않은 방식에 처음에는 머뭇거리던 직원들이 시간이 지나자 다양한 의견과 반응을 쏟아냈다. 이대훈 주무관은 “홍보의 목적을 생각해야 한다. 홍보의 중심에 주민이 있어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했고 이 구청장은 “우리 구 홍보의 핵심은 구민의 입장에서 무엇이 필요한가를 고민하는 데서 시작돼야 한다”고 답했다.
이날 오전 9시에 시작된 토론은 점심시간 직전까지 이어졌다고 한다. 토론 결과 ▲전략적인 홍보계획 마련 ▲홍보매뉴얼 수립 ▲홍보전략회의 신설 ▲구 홍보물의 사전 심의제 운영 등의 의견이 도출됐고 곧바로 계획을 수립해 내년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구는 조직문화와 함께 조직구조 개선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지자체에서 소외받기 쉬운 일자리경제과를 구의 핵심부서로 자리를 바꾼 게 시작이다. 구 관계자는 “내년 1월에는 일자리경제과가 부구청장 직속 일자리경제담당관으로 격상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직위공모제도 참신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지난 7월에는 구의 핵심사업을 담당하는 ‘행정타운 건립추진단’의 직원 5명을 학력, 성별, 출신지 등을 고려하지 않고 능력과 열정을 고려해 선발했다. 최근엔 혁신담당관 49명을 팀장급 직원들로 구성해 조직 내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하는 역할을 맡겼다.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4-11-25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