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품은 쉼터 인권도시 출발점
“구민들은 어떻게 인권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삶에서 느낄 수 있을까. 이것이 안암복합청사를 전국 첫 인권청사로 조성한 이유입니다.”김 구청장은 “인권을 구체적으로 반영하는 방법이 모호해 건설을 시작한 지 3개월 만에 전면 재검토를 했었다”면서 “그 결과 건축 과정에서 주민의 참여, 위압적인 관청 건물이 아닌 누구나 친근하게 이용하는 소통의 건물,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시설이라는 3개의 키워드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이 단장은 “주민들이 건물 외관의 마감재로 큰 관리가 필요 없는 돌을 선택해서 따뜻한 느낌의 돌인 테라코타 타일로 외벽을 감싸고 각 층마다 로비를 둬 주민들이 관공서의 딱딱한 이미지를 느끼지 않도록 했다”면서 “장애인을 위해 턱은 모두 없앴고, 2층에 있는 동주민센터에는 창피해하지 않고 복지 민원상담을 할 수 있게 별도의 방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김 구청장은 “동 주민센터에는 통상 1층에 민원센터가 있지만 마을 어귀나 집의 마당처럼 사람들이 편하게 드나들 수 있게 만남의 장소와 로비로 꾸미도록 주민들과 많은 대화를 나누었다”고 덧붙였다. 성북천이 내려다 보이는 건물의 정면에는 전망 엘리베이터와 갤러리로 이용할 수 있는 전망 계단을 설치했다. 엘리베이터는 옥상까지 운행해 누구나 옥상정원을 드나들 수 있도록 했다.
청사의 규모는 지상 6층·지하 1층(연면적 1585.86㎡)이며 민원실, 자치회관, 인권도서관, 힐링센터, 주민모임방 등을 갖추고 있다. 사업비는 총 56억 4800만원이 들었다.
김 구청장과 이 단장은 건물만큼이나 콘텐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단장은 “인권청사는 인권조형물이 아니며 인권 콘텐츠를 꾸준히 개발하는 것이 성공의 열쇠”라고 당부했다.
김 구청장은 “10명의 인권청사운영지원단이 청사 프로그램을 만들고 있으며 하반기부터는 본격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하나의 건물로 시작했지만 장기적으로 인권 도시로 확산되는 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구는 2013년 12월 성북인권선언을 발표한 바 있으며 시민인권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