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물단지’ 인천 월미바다열차, 만성 적자 오명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프로야구·농구팀 없는데… 전주, 1조 4000억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신뢰 위기에… 목포·신안 통합 난항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서울 첫 초등학교 분교 신설… 강동 고덕강일에 ‘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독도 사계절 표준영상 제작·홍보 사업 무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울진 금강송 벌목 사진작가 참여 논란

경북도의 독도 사계절 표준영상 제작 사업이 반쪽에 그쳐 예산낭비 등의 논란이 일고 있다.

6일 도에 따르면 지난해 4월부터 경북대산학협력단과 손잡고 독도의 사계절 등을 영상과 사진으로 담은 표준영상 파일 제작 사업에 들어갔다.

이는 ‘문화예술의 섬 독도 만들기’ 프로젝트의 하나로 표준영상과 같은 기록적·예술적 가치가 있는 문화콘텐츠를 개발해 독도 홍보를 극대화한다는 취지에서다. 이를 위해 도는 도비 2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도는 당초 올해 2월까지 표준영상 파일을 제작해 국내외에 배포하는 한편 전시회 등도 열 예정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7월 이 사업에 참여한 사진작가 장모(72)씨가 사진 촬영을 위해 울진의 금강송 군락지에서 금강송을 무단 벌목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지자 도는 독도의 상징성을 감안할 때 장씨를 사업에 계속 참여시킨다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판단해 사업을 잠정 중단했다. 이 사업에 참여한 작가는 장씨 등 모두 3명이었으며 도는 이들에게 3개월여 동안 활동비 등으로 4000만여원을 지급했다. 나머지 1억 5000여만원은 환수 조치했다.

이 때문에 도가 독도 표준영상을 제작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록과 DVD로 만들어 해외 문화원 및 독도자문위원회를 비롯해 국내외 기관·단체 등에 배포해 홍보하려던 계획은 무산됐다. 반쪽 사업으로 인한 예산낭비 및 졸속행정 논란도 일고 있다.

독도 관련 단체들은 “도가 애초부터 문제가 있는 작가를 사업에 참여시킨 것도 잘못이지만 이를 교체해 사업을 계속 진행하면 될 것을 중도 포기해 혈세를 낭비한 것은 더 큰 잘못”이라며 “‘아니면 말고 식’의 경북도 독도 홍보정책은 수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시 도는 독도 관련 단체들로부터 2012년 금강송의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 추진을 이유로 장씨의 프랑스 전시회를 지원한 데다 기암절벽으로 이뤄진 독도를 촬영해야 하는 사업에 관련 분야 전문성이 없는 장씨를 참여시켜 특혜를 제공했다는 비난을 사기도 했다.

이에 대해 도 독도정책관실 관계자는 “장씨 문제가 불거진 이후 사업 지속 여부를 검토한 결과 재추진이 어렵다고 판단돼 중단했다”면서 “하지만 경북대산학협력단으로부터 독도 파일 3000여장을 인수받아 각종 홍보에 활용하기 때문에 예산낭비라고 볼 수는 없다”고 해명했다.

대구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5-05-07 11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