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첫 대구시민원탁회의
올해 첫 대구시민원탁회의가 지난 11일 오후 7시 대구시 달서구 학생문화센터 체육관에서 열렸다. 시민원탁회의는 권영진 대구시장의 공약으로 시의 현안에 대한 시민 의견 수렴을 위해 열리는 것이다. 지난해 9월 처음 개최됐다.1부에선 대구 축제의 문제점을 진단하는 내용으로 토론이 진행됐다. 30여분간의 토론을 마친 후에는 각 테이블의 대표가 직접 마이크를 잡고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했다. 1부 토론 후 대구 축제의 문제점에 대한 의견을 취합한 결과 ‘중구난방식 흩어진 축제’가 전체의 41%로 가장 많았다. 이어 29%는 ‘낮은 기획력’을 꼽았다. ‘여유 없고 무관심한 시민’이 축제의 문제점이라고 한 참석자들이 15%로 세 번째로 많았다. 이어 ‘운영 미숙’이 9%, 관 주도 등 ‘소수의 축제’가 7% 등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축제에 사회적 약자가 소외돼 있고 사후 평가가 미비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대구 대표 콘텐츠 육성 방안에 대해 토론한 2부에선 바람직한 시민 주도형 축제로 거듭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한 논의가 중점적으로 이뤄졌다. 대구의 축제가 역사와 문화의 정체성을 가져야 한다는 참석자들의 목소리가 전체의 30%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지역 특성을 살리고 내세울 수 있는 축제가 돼야 한다는 참석자가 25%였다. 여러 사람이 함께 어울리는 축제가 돼야 한다는 주장이 22%였고 일상으로부터 탈출과 힐링이 축제의 콘텐츠가 돼야 한다는 의견이 15%, 즐길거리·먹거리·볼거리 등을 대구축제의 대표적인 콘텐츠라고 한 참석자가 7% 등이었다. 이 밖에 대표 콘텐츠가 없다는 의견과 축제의 컨트롤타워와 집중 축제 기간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권 시장은 “시민들이 제시한 의견의 큰 틀을 구체화하고, 이에 따라 축제를 바꿔 가겠다”고 말했다. 또 “시민들이 이렇게 한자리에 모여 축제의 방향에 대해 함께 고민하는 것은 시민이 축제를 만들어가는 데 좋은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이제는 시민 다수가 즐기는 축제가 되도록 힘을 모으는 데 역량을 집중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
시는 이날 원탁회의를 통해 수렴된 시민 의견을 최종 검토한 뒤 세부시행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또 앞으로 지역축제와 주요 행사를 연계·조정해 대구의 특징을 살릴 수 있는 글로벌 축제 브랜드를 만들 방침이다.
대구 한찬규 기자 cghan@seoul.co.kr
2015-05-13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