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울산시에 따르면 지난 24일 경기 광주시 한 공장에서 진행된 3차 모형실험에서 또다시 누수가 발생했다. 이 실험은 반구대암각화를 둘러싸기 위해 제작될 임시 물막이(길이 55m, 너비 16~18m, 높이 16m)의 투명막이 수압에 견딜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지난해 12월 15일과 지난 4월 26일 진행된 1·2차 실험에서는 약간의 누수 현상을 보였지만, 이번 3차 실험에서는 투명막 이음매가 수압을 못 이겨 터졌다. 이에 따라 임시 물막이 설치 방안은 무산될 것으로 보인다. 투명막 설계업체인 포스코A&C는 지난해 12월 15일 1차 실험 실패 후 3개월간 원인분석을 마친 뒤 지난달 26일 2차 실험을 진행한 데 이어 이번에 3차 실험까지 벌였지만, 모두 실패했다.
이에 따라 14명으로 구성된 기술검증평가단은 그동안 실험 결과를 토대로 다음 달 초 문화재청에 보고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문화재청은 다음 달 문화재위원회를 열어 가변형 임시 물막이 설치 여부를 결정해 다음 달 말이나 7월 초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실험은 문화재청이 전문가들의 의견을 무시한 채 실험을 강행해 28억원의 예산과 3년의 세월을 낭비한 결과를 가져왔다. 기술검증평가위원인 조홍제 울산대 교수는 “투명막 이음매에 실제 수압을 가하기 전에 물이 터졌기 때문에 완전히 실패한 실험”이라며 “수리 전문가들의 의견을 철저히 무시한 데 따른 예견된 결과”라고 지적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문화재청은 이번 실험결과를 토대로 반구대암각화 보존 방안과 울산의 물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