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시장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와 같은 감염병 대응원칙, 2011년 우면산 산사태 극복 경험, 홍콩 산지방재 기관과의 교류 등을 공인받아 세계 100대 도시로 선정됐다”고 말했다.
지난해 7월 신청서를 접수한 서울시는 박 시장이 마이클 베르코위츠 세계 100대 재난회복력 도시 회장과 화상 인터뷰를 한 끝에 9대1의 경쟁률을 뚫고 선정됐다. 100대 도시로 선정된 곳은 미국이 23개로 가장 많고 이어 인도와 영국이 각각 5개 도시가 뽑혔다. 한국에서는 서울이 유일한 100대 도시다.
100대 도시로 선정되면 스위스 재보험, 환경기업 베오리아, 정보통신업체 마이크로소프트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전문기관 80여곳이 재난회복력을 강화하는 지원서비스를 제공한다.
서울시 CRO로 임명된 김준기 안전총괄본부장은 서비스를 포함해 2년간 10억원 상당의 활동비를 지원받는다. 100대 도시는 연간 2~3회씩 모여 도시 간 공동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정책, 기술, 서비스 등을 공유하게 된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6-05-2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