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차 맞은 나주 혁신도시
부지 조성비만 1조 4175억 투자2만 가구·5만명 사는 전원 도시
7만 5000여명 일자리 창출 기대
광주·전남 혁신도시가 지역경제를 이끌고 있다. 주택단지 위주로 들어서는 단순한 신도시가 아니라 산업 중심 신도시의 성격을 띠고 있다. 광주·전남 혁신도시에는 에너지와 농생명, 정보통신, 문화예술 공공기관이 들어섰다.
전남 나주시 금천·산포면 일대 736만 1000㎡에 조성된 혁신도시에는 모두 16개 기관이 입주하게 된다. 현재 14개 기관이 이주해 문을 열었고 한국인터넷진흥원과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은 내년 2월까지 이전할 계획이다.
전원도시(녹지공간 35.1%)로 조성됐으며, 도시 한가운데에 중앙호수공원(52만㎡)이 있다. 앞으로 골프장(18홀)도 들어선다. 도시는 2만 가구, 5만명이 거주할 수 있게 설계됐다. 지난달 말 현재 1만 6000명이 살고 있다. 아파트 8314가구가 지어졌고 이 중 6252가구가 입주를 완료했다. 오피스텔 3427실도 준공돼 입주를 마쳤다. 7개 학교에 학생 수 2445명이다. 기관 이전 일정에 맞춰 부지를 조성하고 기반 시설을 확충하는 데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역할이 컸다. LH는 전남개발공사, 광주도시공사와 함께 사업 시행자로 나서 부지를 마련하고 기반시설을 건설하는 역할을 맡았다.
무엇보다 부지 조성비 9676억원과 보상비 4499억원 등 1조 4175억원에 이르는 사업비를 LH를 포함한 이들 사업시행자가 먼저 투자했다. 또 초기 이전 기관 직원들의 입주 편의를 위해 LH는 아파트 4000여 가구를 준공, 공급했다. 분양 아파트와 함께 임대 아파트도 공급했다. 부지 조성에 대한 선투자에 이어 주거시설도 선투자로 건설해 초기 입주자들의 불편을 해소한 것이다. 올해 말부터 내년까지는 LH 택지를 분양받은 민간 업체들이 짓는 아파트의 입주가 줄줄이 이어진다.
2007년 11월 혁신도시 개발 첫 삽을 뜬 지 5년 만인 2012년 11월 기본 부지 조성공사가 끝났다. 2013년 1단계 부지 조성공사 준공을 시작으로 지난해 말까지 3단계 부지 조성을 모두 마쳤다. LH 관계자는 “부지 조성공사가 지지부진하면 기관들이 제때 이전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역 본부를 중심으로 혁신도시 조성에 집중 투자했다”고 말했다.
이전 기관들이 사옥 이전 용지를 먼저 개발, 분양하고 공사를 할 수 있도록 도로 등 기반시설 공사도 동시에 진행했다. 조성된 부지의 58.4%는 이전 기관과 민간업체 등에 유상으로 공급됐고 41.6%는 공원, 도로 등으로 기부채납됐다. 다른 신도시와 비교하면 무상으로 내놓는 땅의 비율이 높다. 무상 비율이 높다는 것은 사업 시행자의 이익이 그만큼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순히 정부투자기관만 이전하는 것이 아니다. 협력업체 800여개가 인근 산단에 입주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학연 클러스터가 조성되는 것이다. 혁신도시 개발에 따른 경제 유발효과만도 8조원에 이르게 돼 지역 발전을 견인한다. 지방세 수입도 234억원이 증가해 지역개발 사업이 활발해지고 주민 복지에 대한 투자도 늘어난다. 당장 이 지역 젊은이들의 일자리가 크게 늘어났다. 지난해 이곳 기관들 전체 채용 인원 중 15.4%가 지역 출신이었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6-08-29 3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