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 보훈회관 건립 자문위 개최
“오늘날의 대한민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국민을 챙기는 보훈은 국가의 뿌리이자 기둥인데 보수단체에서도 보훈에는 인색한 것이 현실입니다.”유종필 관악구청장이 2018년 완공하는 보훈회관 착공을 앞두고 지난 27일 9명의 보훈단체 회장과 건축전문가를 불러 자문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
유 구청장은 “미국의 수도 워싱턴에는 백악관과 의회 바로 옆에 한국전과 베트남전 참전 기념비가 보기 좋게 형성되어 자긍심을 불러일으킨다”며 “보훈유공자가 오늘의 미국을 만들었다는 사실을 미국의 심장인 워싱턴이란 도시 전체가 보여 준다”고 설명했다. 지하 1층, 지상 7층의 새 보훈회관은 39억원의 예산으로 건설되며 서울시에서 20억원, 중앙정부에서 5억원을 대고 나머지는 구 재정으로 충당한다. 평당 공사비는 800만원 수준이다.
관악구는 보훈회관을 만드는 전체 과정을 ‘민·관 협치’로 진행해 보훈 유공자들의 목소리가 담긴 제대로 된 건물을 만들어 낼 계획이다. 보훈회관 설계 공모에는 8개 건축사무소가 참여해 관악구에 있는 곳이 당선됐다. 박태연 건축사는 “설계의 주제는 ‘보훈나무’로 조그만 새싹이 반듯한 대한민국이란 큰 나무로 자란 것을 형상화했다”고 말했다. 나라를 위한 희생정신이 쌓여 반석처럼 굳건해진 대한민국을 보훈회관이 그대로 웅변하게 된다.
설계안에 대해 보훈단체 회장들은 모두 고개를 끄덕였다. 윤여익 고엽제 전우회장은 “100% 국산 자재로 써야 한다”고 강조하며 “6월 호국보훈의달에 맞춰 준공되기를 바란다”고 제안했다. 유병철 월남전 참전자회장이 “내부 자재는 불연재가 좋겠다”고 하자 건축사는 “외부 발코니가 있어 피난에 유리하다”고 밝혔다.
‘소통과 혁신’을 행정의 핵심 가치로 삼은 유 구청장은 그동안 하루 평균 2~3건의 민원과 건의사항을 들어 90% 이상을 해결하며 주민 목소리의 실질적인 대변인으로 활약하고 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