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친화도시 만들기’ 행사
“자전거도로를 많이 만들어 주세요.” “어른들이 놀이터에서 담배를 피우지 못하도록 해 주세요.”
|
‘아동친화도시 만들기’ 행사에 참석한 노현송(오른쪽) 강서구청장이 구청 직원과 함께 체험 부스에서 자신들이 바라는 지역의 미래상을 조각으로 표현한 아이들 작품을 보며 이야기를 하고 있다. |
노현송 강서구청장도 자리를 함께했다. 아이들 의견 하나하나를 귀 기울여 들었다. 한 여고생이 노 구청장에게 “학교 주변 가로등이 어두워 늦은 시간 귀가할 땐 무섭다”며 “좀 더 밝게 만들어 달라”고 했다. 노 구청장은 “구에서 추진하는 ‘좋은 빛’ 사업을 통해 지난달까지 400여개의 발광다이오드(LED)등을 초·중·고 주변 골목길에 설치했고, 내년에는 500개를 추가 설치할 것”이라며 “아이들이 안전하게 다닐 수 있도록 학교 주변을 아주 밝게 만들겠다”고 했다. 아이들은 공원 옆에 마련된 체험 부스에서 자신들이 바라는 지역의 미래상을 그림, 조각, 사진 등으로 표현하기도 했다.
강서구가 민관 협치를 기반으로 만 18세 미만 모든 아이들이 행복한 아동친화도시를 만드는 데 앞장서고 있다. 생존·발달·보호·참여를 아동·청소년 4대 권리로 정하고 1900억원을 투입, 132개 사업을 하고 있다.
지난 2~4월엔 초·중·고등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아동친화도시 조성 방법을 설문조사했다. 놀이터 놀이기구 개선, 청소년 직업체험 기회 제공,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다양화 등 여러 의견이 나왔다.
구청장에게 직언하는 만 18세 미만 아동참여위원 46명도 위촉했다. 이들은 최근 노 구청장과의 간담회에서 어린이 전용 구청 홈페이지 구축과 아동 인권침해 때 즉시 신고할 수 있는 신문고를 만들어 달라고 했다. 구 관계자는 “어린이 전용 구청 홈페이지는 아이들이 원하는 콘텐츠를 싣기 위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있고, 어린이 신문고는 소관 부서에서 설치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구는 다음달 아동 권리를 옹호하고 대변할 ‘옴부즈퍼슨’을 부구청장 직속 독립기구로 신설한다. 옴부즈퍼슨은 아동학대, 방임 등 아동 권리 침해를 감시하고, 아동 의견을 구 정책에 반영하는 역할을 한다.
강서구는 2015년 7월 ‘전국 아동친화도시 지방정부협의회’에 가입했다. 지난달 유니세프 한국위원회에 아동친화도시 인증을 요청하는 인증신청서와 거버넌스보고서를 제출,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노 구청장은 “아동친화도시 조성은 당사자인 아이들과 주민 의견을 반영하는 게 핵심”이라며 “민관 협치를 통해 아동행복 1번지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글 사진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7-08-16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