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구미시 상모사곡동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 옆에 조성 중인 새마을공원 테마공원(이하 새마을공원)을 12월 말에 준공한다고 30일 밝혔다.
|
경북 구미시 상모사곡동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 인근의 ‘새마을운동테마공원’ 공사 현장. 2017.7.24 서울신문 DB |
하지만 새마을공원은 개관도 하기 전에 애물단지로 전락됐다. 경북도와 구미시가 연간 60억원(추정)의 운영비 부담 탓에 서로 운영권을 맡지 않으려고 떠넘기기를 하다가 결국 최근 절반씩 안는 것으로 합의했다.
새마을공원에서 불과 500m 떨어진 곳에는 ‘경상북도 새마을회관’이 있다. 2008년 경북도와 구미시가 새마을운동 활성화와 상징을 위해 110억원(도비·시비 60억 등)을 들여 지은 것이다. 지하 1층, 지상 4층, 전체면적 7372㎡ 규모다.
새마을회관은 준공 이후 7년 동안 방치되다 2015년 리모델링을 해서 웨딩홀과 스크린 골프 연습장으로 임대됐다. 이 과정에서 경북도가 비용 6억원을 지원했다.
청도군은 지난해 청도읍 신도1리 새마을운동 발상지 기념관을 ‘새마을운동 발상지 기념공원’으로 이름을 바꾸고 새롭게 단장됐다. 기념공원은 2009년 건립된 새마을운동 발상지 기념관(사업비 62억원), 2011년 준공된 새마을운동 성역화 사업장(49억원), 2015년 조성된 새마을테마파크(111억원)를 아우르는 복합체험공간이라고 군 관계자는 설명했다.
앞서 포항시는 2009년 기계면 문성리에서 새마을운동 발상지 기념관(42억원)을 준공했다. 새마을운동 발상지 문제로 법적 다툼을 벌이던 청도군에 맞서 또다른 발상지 기념관을 건립한 것이다. 새마을 관련 책자, 계획서, 필름, 정부문서, 사진 등이 전시됐다. 하지만 이 기념관 방문객은 그리 많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구미경실련 조근래 사무국장은 “선출직들이 새마을운동 사양화를 내다보지 못하고 정치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관련 시설물을 막무가내로 짓다보니 난립을 초래했다”면서 “운영 적자도 혈세로 메울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구미·청도·포항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