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토론회… “일자리진흥공단도 필요”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충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인재를 키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일각에서는 이들을 양성할 전문 교육기관을 설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김광선 공학인재양성특별위원장은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문재인 정부 일자리 창출 국회 대토론회’에서 “융합적 사고 역량을 가진 인재를 키워낼 ‘융합인재 교육진흥원’과 ‘일자리 진흥공단’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간 융합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목표는 많이 나왔지만 정부의 체계적인 제도 지원은 없었다. 고용노동부는 스마트 제조,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과 관련해 인재를 양성하는 ‘4차 산업 대비 선도인력 양성훈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교육부는 일부 대학을 ‘4차 산업혁명 혁신 선도대학 사업’으로 지정해 인공지능, 뇌 과학, 로봇, 가상현실 등을 연구할 인재를 길러 내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부처 간 산발적으로 이뤄지고 있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기대하긴 어려운 상황이다.
융합인재 교육진흥원은 유아부터 대학 교육까지 국가가 책임지고 이들을 지원하고 양성하는 모델이다. 공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인문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접목한다. 이런 인재들이 산업 현장에서 활약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에서 직업훈련과도 연계한다.
융합인재 일자리 진흥공단은 이런 인재들이 활약할 수 있는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컨트롤타워’다. 4차 산업혁명에서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기술에 대한 표준안을 마련하고, 부처별로 인력을 어떻게 양성할 것인지 방향을 조율한다. 기술이 변화하는 속도에 제도가 마땅히 대응할 수 있도록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는 역할도 맡는다.
2018-07-26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