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행정] 주민 원탁토론회 연 문석진 구청장
150여명과 내년 협치 의제 선정·투표자치구 최초 주민참여결산제 등 제시
질의응답 시간 가지며 표 얻기 경쟁도
“행정 주인은 주민… 협치문화 키울 것” “실제로 어떻게 사업을 진행했는지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예산 편성뿐 아니라 결산도 중요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주민참여예산제에 이어 자치구 최초로 주민참여결산제를 해 보는 건 어떨까요? 주민들의 참여 범위를 최대한 넓혀 보는 겁니다.”
민선 7기 2년차에 접어드는 첫날이었던 지난 1일 서울 서대문구청 대강당에서 열린 주민 원탁토론회 ‘서대문 협치, 일취월장’에 참석한 문석진 구청장이 이같이 선언하자 현장에 모인 협치분과위원과 주민참여예산위원, 주민 등 150여명이 환호로 화답했다.
일찌감치 협치행정을 구현하는 등 다양한 지방자치 실험을 추진해 ‘협치 전문가’로 불리는 문 구청장은 “궁극적으로 나아갈 방향은 주민 참여의 폭을 직접민주주의 실현이 가능한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것”이라면서 “우선 하반기에 주민참여결산학교를 시도할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관에서 방향을 제시할 필요 없이 결산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만 제공하면 구체적인 참여 방향은 주민들이 직접 찾아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원탁토론회는 서울시 ‘지역사회혁신계획’ 공모 사업의 하나로 내년에 민관 협치 방식으로 추진할 지역 핵심 의제를 선정하기 위한 자리였다. 앞서 서대문구는 경제산업, 기후환경, 교육문화, 보건복지, 보육, 제도행정 등 6개 분과별 협치회의를 매달 2회 이상 운영해 각 분과에서 2개씩 모두 12개의 의제를 모았는데 이 의제들의 우선순위를 논의하고 투표를 했다.
10여명씩 원탁에 둘러앉은 참가자들은 협치 의제를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하는 사항을 우선 얘기한 뒤 의제별 세부 사업 내용에 대해 토론했다. 이어 각 분과 담당자가 해당 의제를 발표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지며 표를 얻기 위한 뜨거운 경쟁을 펼쳤다. 정곡을 찌르는 질문도 줄을 이었다. 한 주민이 “커뮤니티 공간 활성화 사업과 기존의 주민사랑방 사업의 차별점이 무엇이냐”고 묻자 담당자는 “주민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 지금보다 늘어나야 한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문 구청장은 “2017년 ‘협치구정’을 선포한 이후 지속적으로 주민 자치 문화가 활성화하고 있다”면서 “열정을 갖고 자발적으로 참가하는 주민들에게 ‘내가 행정의 주인’이라는 보람을 선사하면 협치문화는 저절로 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