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사망자 29만 5107명 가운데 화장을 한 비중이 88.4%(26만 920명)나 됐다. 지역별로는 부산이 94.8%로 가장 높았다. 인천(94.0%), 경남(93.0%), 울산(92.9%), 경기(91.4%), 서울(91.1%) 등도 90%를 넘었다. 80% 미만은 제주(75.4%)와 충남(77.4%) 뿐이었다.
화장이 대세가 된 지 오래지만 화장시설은 60곳에 불과하다. 2014년 55곳과 비교하면 5년 동안 5곳 늘어나는데 그쳤다. 반면 화장률은 2014년 79.2%, 2015년 80.8%, 2016년 82.7%, 2017년 84.6%, 2018년 86.8%, 2019년 88.4%로 해마다 늘고 있다. 화장시설은 지난해 기준 경북이 11곳, 경남 10곳, 강원 8곳, 전남 7곳, 전북 5곳 등이었다. 화장률이 가장 높은 부산과 인천은 화장시설이 각각 1곳에 불과했다.
남 의원은 “시설이 부족해 다른 지역의 화장시설을 사용할 경우 관내 주민과 비교해 평균 6배의 추가 비용이 발생해 상대적으로 높은 요금을 내야 하는 부담이 있다”면서 “관내 화장시설이더라도 지역별로 3배 정도의 사용료 편차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화장시설 사용료에 관한 전국적 표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고, 지역별 편차를 줄이기 위해 수요에 맞는 화장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다”면서 “정기적인 시설 유지 관리 및 노후 설비의 적기 교체 또한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