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 조사단 구성 6월까지 현장실사
|
문체부는 지난해 9월 협회 내부관계자가 제기한 의혹에 대한 사무검사와 신문지국 인터뷰를 통해 유가율(발행 부수 대비 유료부수)과 성실률(신문사가 보고한 유가율)을 조사한 결과 협회 발표와 실제 간 차이가 상당했다.
A신문사의 2019년 유가율은 협회 자료에는 95.94%였지만, 실제로는 67.24%에 그쳤다. 이 신문사의 성실률 역시 98.09%였는데, 실제로는 55.36%였다. 문체부는 조사한 3개 신문사 평균 유가율이 62.99%, 평균 성실률은 55.37%였다고 설명했다.
문체부는 또 부수 검증 과정에서 표본지국 선정과 공사원 배치를 특정 관리자 1명이 외부참관이나 기록 없이 단독으로 수행하는 등 과정 전반에서 불투명한 업무 처리가 있었다고도 했다.
문체부는 모든 신문사가 ‘부수보고관리시스템’을 활용하고, 표본지국 선정 때 제삼자가 참관하도록 할 것, 공사원을 무작위로 배치하도록 하는 등 전면 제도개선을 권고했다. 협회, 전문가, 신문유통원 등이 참여하는 공동 조사단을 구성해 6월 말까지 현장 실사도 추진한다.
2021-03-17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