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산업단지 주변에서 악취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배출원을 찾아내기 위한 악취추적시스템 기반 마련에 나선다고 2일 밝혔다.
인천지역에서는 지난 해 사업장 악취 1039건, 생활악취 676건, 원인불명 457건 등 총 2172건의 악취 관련 민원이 접수됐다. 악취 민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배출원을 찾아내는 것이 핵심이라, 사업장별 악취물질 조사와 자료화가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악취추적시스템의 기반 마련을 위해 주요 악취배출시설인 하수처리, 폐수처리, 목재제조, 금속제품 제조, 도장처리, 합성고무·플라스틱 제품제조 등 6개 업종의 배출구 및 주변지역의 악취물질을 정밀 조사한다. 복합악취는 5인의 악취판정요원이 후각으로 냄새를 판별하는 공기희석관능법으로 측정하고, 지정악취물질 22종과 기타 악취물질 91종은 실시간 악취분석차량을 이용해 사업장 및 주변지역을 이동하며 분석한다.
사람마다 고유한 지문을 이용해 특정인을 가려낼 수 있듯이, 악취지문을 이용하면 업종별 악취물질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 신속한 배출원 추적이 가능하다는 게 시 입장이다.
한상봉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