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 재정비 어디까지
용적률 탓 재건축보다 선호
분당은 1기 신도시 5곳 중에서 리모델링 사업이 가장 활발한 곳이다. 3일 성남시에 따르면 현재 지은 지 15년 이상 된 리모델링 대상 단지는 247개에 12만 1032가구다. 2025년에는 294개 단지, 14만 1500여가구로 늘어난다.
시는 지난 5월 분당구 야탑동 매화마을 1단지 562가구에 대한 리모델링 사업계획을 승인했다. 지난해 2월과 4월 정자동 한솔마을 5단지 1156가구, 구미동 무지개마을 4단지 563가구, 지난 4월 정자동 느티마을 3단지 770가구·4단지 1006가구에 이어 다섯 번째 리모델링 사업계획 승인이며, 모두 성남시 공공지원 단지다.
분당에서 리모델링을 추진하는 단지가 느는 건 용적률 때문이다. 기존 단지의 용적률이 180~200%를 넘으면 재건축 수익성이 낮다고 보는데, 1기 신도시 아파트 대부분의 용적률이 180%를 초과한다.
현재 5개 신도시의 용적률을 보면 분당 184%, 일산 169%, 평촌 204%, 산본 205%, 중동 226% 등으로 평균 200%다. 그래서 1기 신도시 특별법을 통해 용적률을 최대 500%로 늘려 달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국토교통부가 분당·일산·중동·평촌·산본 등 1기 신도시 5곳에 선도지구를 1곳 이상 지정하고, 지역 여건을 잘 아는 지자체가 주민 의견을 수렴해 직접 선정하기로 했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지난달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1기 신도시 지자체장들과의 간담회를 열어 재정비 선도지구 지정 방안에 대한 뜻을 모았다. 1기 신도시 총 30만 가구가 한꺼번에 재건축 사업을 진행하면 대규모 이주 수요가 발생하면서 주택시장이 불안해질 수 있기 때문에 선도지구 사례를 거쳐 사업을 단계적으로 진행하겠다는 것이다.
신동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