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초 정기 운행… 요금 무료
5개 정류소서 자유롭게 승하차
돌발상황 대비해 안전요원 탑승
서울시가 22일부터 경복궁과 청와대 간 약 2.6㎞ 구간을 정기 운행하기 위해 투입할 자율주행버스. 시내버스와 같은 규격의 자율주행버스가 정기 운행에 나선 것은 전국에서 처음이다. 서울시 제공 |
자율주행버스는 경복궁을 순환하는 경로로 약 2.6㎞ 구간을 운행하며, 시민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경복궁역(효자로 입구) ▲국립고궁박물관(영추문) ▲청와대 ▲춘추문 ▲경복궁·국립민속박물관 등 5개의 정류소에서 자유롭게 승하차할 수 있다. 운행 시간은 평일(월~금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이며, 점심시간인 오후 12~1시와 토요일·공휴일에는 운행하지 않는다. 배차 간격은 15분이다.
이용 방법은 일반 시내버스와 동일하다. 이용 요금이 빠져나가지는 않지만 교통카드를 사용해 자율주행버스에 탑승한다. 내릴 때도 교통카드를 단말기에 댄 후 하차하면 이후 인근 대중교통으로 갈아탈 때 환승 요금이 적용된다. 시내버스처럼 정류소 버스정보안내단말기(BIT)에 자율주행버스의 도착 시간까지 안내하는 등 대중교통 안내시스템과도 접목한다.
시는 안전운행을 위해 자율주행버스에 청와대 주변 14곳의 교통신호를 개방해 다음 신호까지 남아 있는 시간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서울경찰청과 협의해 교차로 주행 유도선, 자전거 도로 점선 설치 등 교통안전시설도 개선했다. 돌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자율주행버스에는 시험운전자(안전관리요원)들이 탑승한다. 시내버스와 같은 차량이지만 전 좌석 안전벨트를 설치했고, 유동인구가 많은 경복궁 정문 월대 복원 구간에서는 서행하도록 하는 등 안전 대책을 마련했다.
시는 향후 자율주행버스를 유상 운송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국토교통부에 청와대 주변 일대를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로 지정 신청할 계획이다. 백호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앞으로 자율차를 정규 대중교통 수단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며 “청와대를 방문하는 관람객들이 자율주행까지 체험할 수 있는 도심 명물로 자리잡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하영 기자